문재인 대통령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오는 7일 독일에서 열릴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의 첫 한-일 정상회담에서 어떤 전략을 구사할지 주목된다.
두 정상은 지난 5월 문 대통령 취임 직후 전화통화에 이어 특사를 교환해 일차적인 교감은 나눈 상태다. 하지만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와 관련한 12·28 합의(이하 12·28 합의)를 두고서 양국이 견해차를 좁히지 못한데다, 아베 총리가 문 대통령을 만나 소녀상 철거도 요구할 방침이라는 보도까지 나와 긴장이 감돌고 있다. 특히 지난 2일 일본 도쿄도의회 선거에서 집권 자민당이 역대 최악의 성적으로 참패하면서 궁지에 몰린 아베 총리가 일본 국내 정치를 의식해 어떤 행보를 보일지가 최대 변수로 꼽힌다.
외교가 안팎에서는 다자회의 일정 가운데 약식으로 정상회담을 진행하는 만큼, 두 정상 모두 상견례라는 데 의미를 두고 원론적인 수준에서 얘기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민감한 현안들이 존재하지만 문재인 정부가 아직 세부적인 대응책을 마련하지 않은 상태여서 논의를 구체화하기엔 시기상조라는 분석도 나온다. 문 대통령은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과 국민 정서가 12·28 합의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부분이 있지만, 이 문제에 매달려 한-일 관계의 발전이 가로막혀서는 안 된다’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아베 총리의 경우 ‘한-일 관계의 발전’과 함께 ‘12·28 합의의 착실한 이행’을 요구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그가 문 대통령에게 소녀상 철거를 요구할지는 예단할 수 없지만, 국내에서 흔들리는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이전보다 더 강경한 태도를 취할 가능성은 있어 보인다. 또 4일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성공 발표’를 계기로 대북 압박도 더욱 강하게 요구할 전망이다. 조세영 동서대 일본연구센터 소장은 “문 대통령이 북한 문제에 있어서 한국의 주도적 역할에 대한 이해와 협조를 구하는 게 가장 중요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김지은 기자, 도쿄/조기원 특파원 mira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