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외교장관 회담
확장억제전략협의체 정례화 논의
틸러슨 “대북제재 이행 중·러 압박”
확장억제전략협의체 정례화 논의
틸러슨 “대북제재 이행 중·러 압박”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부 장관이 6일 필리핀 마닐라에서 만나 이날 새벽 채택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새 대북제재 결의 2371호 이행 방안과 북한·북핵 미사일에 대한 한-미, 한-미-일 공조 방안을 협의했다. 두 장관은 한-미 미사일지침 개정 협상 조기 개시에 합의하고, 지난 6월 말 한-미 정상회담에서 논의된 확장억제전략협의체(EDSCG) 정례화를 위한 실무 협의도 가속화하기로 했다.
한-미 외교장관 회담에 배석한 외교부 당국자는 두 장관이 “미사일지침 개정 협상을 조속히 개시하고, 확장억제전략협의체 정례화를 위한 실무 협의가 가속화되어 조기에 확정지을 수 있도록 양 장관 차원에서 협력하자는 요지의 대화가 있었다”고 밝혔다. 앞서 청와대는 지난달 28일 북한의 ‘화성-14’형 미사일 시험발사 뒤 미국과 사거리 800㎞의 탄도미사일의 탄두 중량을 현재 500㎏에서 1t으로 늘리는 방안을 협의 중이라고 공개한 바 있다.
강 장관은 회담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베를린 구상과 지난달 17일 제안한 남북 군사당국회담과 적십자회담에 대해 설명했다. 이에 틸러슨 장관은 남북한 군당국 간 협의 채널 개설이 한반도 긴장 완화를 가져오고, 궁극적으로는 북한이 비핵화를 위한 프로세스에 기여할 수 있다는 맥락에서 “공감과 이해를 표명했다”고 외교부 쪽은 전했다. 다만 북한과 비핵화 대화를 위해서는 “중요한 것은 북한의 정치적 선언이 아니고 북한이 도발을 안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구체적 대화 조건에 대한 협의는 없었지만 양국은 관련국들이 북 핵·미사일과 관련해 긴장된 분위기가 바뀌었다는 인식이 가능할 정도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데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틸러슨 장관은 미국이 유엔의 새 대북제재 결의안 채택에 그치지 않고 계속 이행을 위해 중국·러시아 등 관련국을 압박하겠다는 입장도 표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회담에서 “틸러슨 장관은 (안보리)결의 이행, 즉 ‘말보다 행동이 중요하다’”며 “필요하면 이행 확보를 위한 추가적 조치까지 취하겠다는 뉘앙스”로 말했다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틸러슨 장관이 “한-미, 한-미-일 공조가 공고할 때 중국과 러시아도 오판하지 않는다”며 “(대북 제재와 관련해) 중·러 견인을 어떻게 할 것이냐에 대해 두 장관이 굉장한 시간을 할애해서 얘기를 나눴다”고도 전했다. 7일 낮에는 이들 두 장관과 고노 다로 신임 일본 외무상이 업무오찬을 겸한 한-미-일 외교장관 회담을 열고, 북한 핵·미사일에 대한 대응 방안 등을 협의할 예정이다. 한편 틸러슨 장관은 이날 문재인 정부가 지난달 북한의 미사일 시험발사 뒤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 체계의 발사대 4기를 경북 성주 기지에 추가로 임시배치하기로 한 것에 대해 “중대한 조치를 취했다”고 평가했다.
마닐라/김지은 기자 mira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