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의 전략적 안보 이익은 한반도와 무관한다. 한반도 문제는 우선순위가 아니다.”
바실리 미헤예프 러시아과학원 세계경제·국제관계연구원(IMEMO) 부원장은 26일 제13회 한겨레-부산 국제심포지엄 기조연설에서 이렇게 말했다. 최근 북·러 외교당국의 긴밀한 움직임 속에 나오는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러시아 역할론’에 선을 그은 것이다. 다만 미헤예프 부원장은 연설에서 “북핵을 절대 용납할 수 없다는 것이 러시아 정부의 공식 입장이다. 러시아는 북한의 핵보유국 지위를 결코 인정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러시아 쪽은 최근 중국이 내놓은 ‘쌍중단’(한-미 연합군사훈련과 북 핵·미사일 시험 동시중단)에 바탕한 ‘북핵 일괄타결 방안’을 제시한 바 있다. 미헤예프 부원장은 이런 방안을 “평화협정 체결과 남북한 상호 승인 및 국가관계 정상화, 북-미, 북-일 수교, 대북 경제 원조, 역내 한·미 군사행동 중단, 남북한의 대규모 군축을 포함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국에서 나오는 ‘대북 선제타격론’에 대해선 “미국이 중국과 합의 없이 북한에 대한 군사타격을 가하면 미-중 관계의 긴장을 전략적으로 고조시킬 수 있다. 미국은 자국 기업에 대한 타격과 전략적 정치이익 훼손이 불가피한 대북 독자행동을 자제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북한 주재 소련대사관 1등 서기관 출신으로 대표적 한반도 전문가로 꼽히는 미헤예프 부원장은 러시아과학아카데미 부원장과 카네기재단 모스크바센터 아시아 안보 프로그램 소장 등을 지냈다.
부산/정인환 기자
inhwa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