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지난 13일 오후(현지시각) 필리핀 마닐라 소피텔호텔에서 열린 문재인 대통령과 리커창 중국 총리의 회담에 자리하고 있다. 연합뉴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21일 취임 뒤 처음으로 중국을 방문한다. 다음달 문재인 대통령의 방중을 조율하기 위한 것으로,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 갈등 봉합 뒤 관계 정상화에 나선 한-중이 정상외교의 두번째 라운드에 돌입하는 셈이다.
외교부는 20일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중국 왕이 외교부장과 22일 한-중 외교장관회담을 하기 위해 21일 취임 뒤 처음으로 베이징을 방문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 “(이번 회담에서) 12월 우리 정상의 중국 방문을 준비하고 관련 제반 사항을 점검하기 위한 협의를 가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11일 베트남 다낭에서 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두번째 정상회담을 열고 냉랭했던 양국 관계 복원을 공식화했음에도, 오는 12월 정상회담을 거쳐야 한-중 관계의 정확한 좌표를 알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봉합’됐다던 사드 문제가 다시 불거지고 시 주석이 “서로의 핵심 이익과 중대 우려 존중” 또는 “역사의 시험을 감당할 수 있는 정책 결정” 등의 표현을 쓰며 여지를 남겼기 때문이다.
강 장관의 방중을 앞두고 외교부에서는 중국이 다시 이른바 ‘3불’(△사드 추가 배치를 검토하지 않고 △미국의 미사일방어체계(MD)에 참여하지 않으며 △한·미·일 안보협력이 군사동맹으로 발전하지 않음) 정책 등에 대한 입장 재확인을 요구할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다만 강 장관이 10월31일 한-중 협의 발표 전날 ‘3불’을 언급한 뒤 일어난 보수진영의 반발 등을 고려해, 정부가 기존 협의 외에 추가적인 조처는 검토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강 장관과 왕 부장의 회담에서는 시 주석의 특사로 17~20일 평양을 방문한 쑹타오 중국 공산당 대외연락부장의 방북 결과도 주요하게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외교부는 “(강 장관과 왕 부장의 회담에서)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양국간 공조 방안 등 한반도 정세에 대해서도 깊이 있는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김지은 기자
mira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