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경북 성주에 사드 포대가 기습배치되고 있다. <한겨레> 자료사진
중국이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 레이더에 차단벽 설치를 요구했다’는 일부 언론 보도에 대해 정부가 24일 “사실무근”이라고 부인하는 등 적극 대응에 나섰다. 다음달로 예정된 한-중 정상회담을 앞두고 사드를 둘러싼 한-중 간 밀약설 등을 그대로 방치할 경우 자칫 한-중 관계 정상화 등 정부의 향후 대중 외교행보에 적지 않은 걸림돌이 될 것이란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간담회를 열어 22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강경화 장관과 왕이 외교부장의 한-중 외교장관회담 결과를 설명하면서, 중국이 한국에 배치된 사드의 기술적 측면에 대한 설명과 사드 기지 현장 조사, 중국 방향에 사드 레이더 차단벽 설치 등 세가지 조처를 요구했다는 일부 언론 보도에 대해 “중국이 세가지 조치의 이행을 요구한 바 없다”고 전면 부인했다.
이 당국자는 사드 문제와 관련해 “이미 알려진 대로 10·31 합의에 따라 한·중 양국이 군사당국 간 채널을 통해 사드 관련 문제에 대해 소통해 나가기로 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31일 외교부가 공식 발표한 ‘한-중 관계 개선 관련 양국 간 협의 결과’ 자료에 “(한·중이) 양국 군사당국 간 채널을 통해 중국이 우려하는 사드 관련 문제에 대해 소통해 나가기로 합의했다”는 내용이 명시된 점을 가리킨 것이다. 이와 관련해 문상균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따로 마련된 기자간담회에서, 사드 문제를 논의할 한-중 군사당국회담 개최 여부에 대해 “지금까지 (한-중 군사당국회담을) 계획하고 있는 것은 없다”고 잘라 말했다.
외교부는 또 이날 참고자료를 내어 중국이 최근 거듭 거론하고 있는 사드의 ‘단계적(중국어로 계단성·階段性) 처리’와 관련해 “현 단계에서 문제를 일단락, 봉합한다”는 의미라는 게 중국 쪽 관계자의 설명이라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외교부는 ‘단계적’(step by step)이란 뜻의 중국어는 ‘분단식’(分段式)이라고 밝혔다. 외교부는 지난 13일 마닐라에서 리커창 중국 총리가 문재인 대통령을 만나 “단계적 처리”를 언급했을 때도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영문 기사에서 이 ‘단계적’을 ‘현 단계’를 의미하는 ‘인 더 커런트 스테이지’(in the current stage)로 번역했다고 소개했다.
노지원 기자
zon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