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의 중국 순방 취재 도중 중국 쪽 경호인력에게 집단 폭행을 당한 한국 사진기자가 15일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한 뒤 병원으로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의 방중 도중 발생한 중국 경호 인력의 한국 사진기자 폭행 사건에 대해 중국 쪽이 진상 파악 뒤 필요한 조처를 검토하겠다는 뜻을 밝혀왔다고 외교부가 전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15일 오전 “강경화 장관이 전날 국빈 만찬에서 중국 외교부 왕이 부장에게 유감을 표명하고 재발 방지, 책임자 문책을 요구했다”며 “중국 외교부 아주국 천하이 부국장이 14일 밤 한국 외교부에 연락해 ‘상부 지시’를 전했다”고 밝혔다. 중국이 한국에 전했다며 외교부가 밝힌 내용은 △중국 외교부는 관련 부서에 긴급히 진상 조사를 요청하고 조사를 독려하고 있다 △진상 파악 후 필요한 조처 등을 검토할 예정이고, 사실관계 파악에 시간이 걸린다 △양쪽이 성공적인 국빈 방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노력하기를 기대한다는 세가지다.
이 당국자는 “(천 부국장이) ‘코트라가 민간 보안업체를 고용하긴 했지만 경호담당 공안요원도 현장에 있었을 것이고, 구타자가 공안인지 사설업체 경호원인지 사실관계 확인이 필요하다. 경호요원의 현장 보안 조치, 기자의 취재 과정에서 발생한 우발적 불상사라고 본다’고 설명했다”고 전했다.
같은 날 오후 중국 외교부 당국자는 또 한국 외교부를 통해 “중국 정부는 중국 내 유관 부문 및 한국과의 긴밀한 협조 아래 사건 경위가 신속하고 철저하게 밝혀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예정이며, 이번 사건이 문 대통령의 성공적인 국빈 방문 분위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함께 노력하고자 한다”고 전했다. 루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한국 쪽에서 주최한 행사이고, 관련 기자들 초청과 경호업체 고용도 한국 쪽에서 했으니까 조사의 주요 주체는 아마도 주최 쪽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어찌 됐든 중국에서 발생한 사건이니까 우리는 (조사에) 협조하겠고, 관련 조사가 잘 이뤄지길 바란다”며 “문 대통령 방중 일정은 어제 발생한 작은 에피소드를 포함해 지금까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 공안 당국은 14일 밤부터 15일 새벽까지 피해자 조사를 3차례 실시했다. 중국 경찰은 당시 현장 상황을 비롯해 한국 기자가 비표(취재 허가 증명)를 잘 보이게 달았는지 등을 물었고, 피해자들은 규정을 잘 지켰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리커창 중국 총리와의 회담 직후 한국 취재진의 프레스센터를 찾아 “이번에 불미스러운 일도 있었는데, 다들 수고 많았다”고 격려한 뒤, 폭행 사건에 대해 “외교부와 기자단에서도 항의했으니 적절한 조치가 있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폭행을 당한 두 기자는 15일 오후 귀국했다. 노지원 성연철 기자,
베이징/김외현 특파원
zon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