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훈 일본주재 한국대사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에 대해 “‘위안부’ 문제는 그 (2015년) 합의로도 해결할 수 없지만 한-일 간에 추가적인 어떤 노력을 같이 하기가 참 어렵다”면서 “(논란이) 더 진전이 안 되도록 봉합”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사는 지난 15일 도쿄에서 한-일 기자단 교류 프로그램으로 일본을 방문한 외교부 취재 기자들과의 간담회에서 “(‘위안부’ 문제는) 호흡을 길게 보고 장기적인 접근으로 하자”고 했다. 그러면서 “(‘위안부’ 문제는) 자꾸 해결하려고 하면 마치 상처가 가만히 두면 낫는데 자꾸 그걸 붙이고 떼고 그러다가 덧나고 그럴 수도 있으니까”라고 덧붙였다. 이 대사는 앞서 문재인 정부가 이 문제와 관련핸 내놓은 ‘해법’을 두고 “사드형 해법이라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는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지난 9일 정부가 2015년 한-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 합의(12·28 합의)의 “재협상은 요구하지 않겠다”면서도 “일본 정부가 화해·치유재단에 출연한 10억엔을 우리 정부 예산으로 충당하고 이후 처리방안에 대해서는 일본 정부와 협의하겠다”고 밝힌 것을 두고 한 발언이다. 강 장관은 이와 함께 12·28 합의로 ‘위안부’ 문제는 해결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하는 한편 일본 정부에 피해자 할머니들이 바라는 진정한 사과 등 ‘자발적 추가 조처’를 “기대한다”고도 밝혀 일본 정부의 반발을 사고 있다.
이 대사는 이에 대한 일본 정부의 기류에 대해서는 “상대방이 수용적·이해적 태도를 가지고 있으면 '10정도 해라 우리가 90할게' 한다든지, 아니면 '20대 80 이렇게 할게'라고 하든지 협상적인 노력을 해볼 수 있는데 그 어프로치(접근)가 통하지 않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또 피해자들이 요구하는 일본의 진정한 사과 등 조처에 대해서는 “현재로서는 크게 기대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다만 강 장관의 발표 뒤 “일본 정부 반발이 생각했던 것 보다는 약했다”고 전했다.
이 대사가 문재인 정부의 ‘위안부’ 문제에 대한 접근법을 두고 “사드형 해법”이라고 말한 것은 앞서 한국과 중국 정부가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 체계에 대한 양국의 입장차를 일단 ‘봉합’한 채 양국 관계를 복원하기로 한 것과 비슷한 맥락에서 풀이한 것으로 보인다. 즉 한-일 간 평행선을 달리고 있는 ‘위안부’ 문제는 그대로 둔 채 다른 분야의 교류·협력을 증진하겠다는 뜻이다. 문재인 정부가 대일본 정책으로 ‘위안부’ 문제 등 역사 문제와 여타 경제·문화 분야의 협력을 분리해 대응하겠다는 ‘투 트랙’ 접근법과 같다.
이 대사는 이어 “우리 정부가 피해자를 어루만지고 보듬고 많은 것을 하지 않나”라면서 “아베 정부는, 특히 총리 관저는 위안부 합의에 대한 생각이 강하다”고 말했다. 이에 이 대사는 “아무리 대화해봐야 소용도 없고 그래서 이런 것이 정치권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정치인들을 많이 만난다”고 전했다.
이 대사는 문 대통령의 방일 시기에 대해 “올해 안에는 당연히 와야 한다”며 “(일본이 올해 개최할 예정인) 한·중·일 정상회의도 안 되고 영 안 되면 단독 방문이라도 해야 하는데 한·중·일 정상회의는 3∼4월에 하겠지”라고 말했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평창겨울올림픽 참석 가능성에 대해서 이 대사는 “아직 알 수 없다”며 “중의원 의장(오시마 다다모리)이 오고 누카가 후쿠시로 한-일 의원연맹 일본 측 회장이나 지한파 의원들 많이 갈 것이다. (집권 자민당의 연립 파트너인) 공명당에서도 많이 올 것”이라고 말했다.
외교부 공동취재단 김지은 기자
mira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