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문점서 북미 정상회담 의제 조율 실무회담
주한 미국대사 지낸 성 김 주필리핀 대사
국무부 최고 한반도 전문가로 꼽혀
6자회담 통역으로 잔뼈 굵은 최선희
김정은 체제 대표적 대미 협상 창구
6·12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 의제 조율을 위해 27일부터 판문점 북쪽지역인 통일각에서 실무협상에 나선 성 김(왼쪽) 주필리핀 대사와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 그래픽 정희영 디자이너
6월12일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 의제 조율을 위해 27일부터 판문점 북쪽지역인 통일각에서 실무회담이 열리고 있는 가운데, 양쪽 대표로 나선 성 김 주필리핀 미국대사와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에게 세계의 눈과 귀가 모이고 있다.
우선 주한 미국대사를 지낸 김 대사는 6자회담 미국 수석대표와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를 거친 미국 내 대표적인 대북 협상 및 한반도 전문가다. 외교가에서는 지난 18일을 전후해 김 대사가 북-미 정상회담 준비 실무단 대표로 합류하는 한편, 곧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대북정책 관련 중책을 맡아 협상의 전면에 나설 것이라는 얘기가 전해졌다. 김 대사는 지난 2월 조셉 윤 전 미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가 사임한 뒤 미 국무부 내 북한과 협상 경험이 있는 사실상 유일한 한반도 전문가다.
서울에서 태어난 김 대사는 1970년대 중반 부친을 따라 미국으로 이민한 뒤 펜실베이니아 대학을 졸업하고 로욜라 로스쿨과 런던정경대(LSE)에서 법학 석사 학위를 받아 로스앤젤레스에서 검사로 공직 생활을 시작했다. 1988년 외교관으로 이직한 뒤 주한대사관 정무참사관(2002~2006년)과 국무부 한국과장(2006~2008년)을 거쳐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서 6자회담 특사로 발탁됐다. 김 대사는 이때 미국 쪽 대표로 북한 영변 원자로 냉각탑 폭파(2008년 6월) 현장을 지켜보기도 했다.
2011년 11월부터 3년간 주한 미국대사를 역임한 김 대사는 2014년 10월부터 2년 동안은 북핵 문제 관련 미국 정부의 실무 총괄 책임자인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 겸 한·일 담당 동아태 부차관보직을 맡았다.
2016년 11월 김 대사가 주필리핀 대사로 부임할 당시 존 케리 당시 미 국무장관은 “(김 대사는) 합리적 판단과 열심히 일하는 자세, 뛰어난 지능, 겸손함으로 명성을 얻었다”며 “특히 김 대사가 외교가의 ‘조지 클루니’라고 불리는 점을 고려하면 그의 겸손함은 매우 인상적”이라고 평가해 눈길을 끌었다. 김 대사가 대북정책 특별대표 자격으로 한반도 비핵화를 위해 12차례나 방북했다는 사실을 소개한 것도 케리 전 장관이었다.
판문점 협상에 김 대사와 함께 미국 쪽 대표단에는 앨리슨 후커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한반도 보좌관과 랜들 슈라이버 국방부 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 등이 포함됐다. 후커 보좌관은 2014년 11월 제임스 클래퍼 국가정보국(DNI) 국장이 북한에 억류된 미국인의 석방을 위해 방북해 김영철 당시 정찰총국장 등과 협상할 때 수행한 실무진이다.
앞서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의 평양 방문 때 동행한 것으로 알려진 슈라이버 차관보도 2000년대부터 한반도 문제를 다뤄왔다. 조지 부시 행정부 시절 리처드 아미티지 국무부 부장관의 비서실장(2001~2003년)을 지냈고 이어 중국, 대만, 홍콩,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와 태평양 도서지역을 관할하는 국무부 부차관보를 지냈다. 1989년부터 2년간 해군 정보장교로 복무한 그는 미 국방부(1994~1998년)에서 중국과 대만 쪽 업무를 하는 등 중국 전문가로 알려져 있다.
북쪽 대표로 협상 테이블에 나온 최선희 부상은 김정은 체제의 대표적 대미 협상 창구로 활약하고 있다. 북한에 억류됐다가 혼수상태로 귀국한 직후 숨진 미국 대학생 오토 웜비어 석방 협상 당시 조셉 윤 전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의 카운터파트도 최 부상이었다.
하지만 최 부상이 이번 북-미 실무협상의 대표로 나섰다는 점은 특별히 관심을 모으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24일 6·12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 취소 이유로 최 부상이 당일 발표한 대미 담화를 언급했기 때문이다. 이날 최 부상은 대북 강경 발언을 한 마이클 펜스 미 부통령을 겨냥해 “횡설수설하며 주제넘게 놀아댔다”며 “미국이 우리의 선의를 모독하고 계속 불법 무도하게 나오는 경우 나는 조-미 수뇌회담을 재고려할 데 대한 문제를 최고 지도부에 제기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최선희 담화’는 16일 김계관 외무성 제1부상의 첫 담화와 함께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 정상회담 무산을 선언하는 배경으로 꼽혔다. 이에 북-미 간 협상이 재개돼도 ‘미운털’이 박힌 김계관-최선희 라인은 대미 협상장에 얼굴을 내밀기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1980년대 중반께 외무성 근무를 시작했다고 알려진 최 부상은 6자회담 등 주요한 북-미 협상에서 북쪽 수석대표의 통역을 맡아왔다. 유창한 영어 실력의 보유자로 알려진 최 부상의 통역에 관한 일화는 외교가에서 유명하다. 최 부상이 자신의 판단에 따라 상대의 말을 제대로 다 전하지 않는 등 ‘제멋대로 통역’을 한다는 것인데 그가 ‘실세’이기 때문에 가능하다는 얘기가 뒤따른다. 북한 권력서열 3위로 내각 총리를 지냈던 최영림의 수양딸인 최 부상은 오스트리아, 중국 등에서 유학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2010년 10월께 북미국 부국장에 오른 것으로 알려진 최 부상은 2011년 7월 6자회담 북쪽 차석대표로 임명됐다. 그가 부상으로 승진했다는 소식은 올해 3월 북쪽 매체를 통해 공식 확인됐다.
김지은 기자 mirae@hani.co.kr [관련 영상] <한겨레TV> | 냉전해체 프로젝트 ‘이구동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