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4일 오후 청와대 여민1관 3층 소회의실에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체회의를 열어 북-미 정상회담 후속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2018.6.14.
문재인 대통령은 14일 “북한이 진정성 있게 비핵화 조치를 실천하고 적대관계 해소를 위한 남북 간, 북-미 간 성실한 대화가 지속된다면, 판문점선언에서 합의한 상호 신뢰 구축 정신에 따라 대북 군사적 압박에 대해 유연한 변화가 필요하며 연합훈련 중지에 대해서도 신중한 검토를 하겠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청와대에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체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이렇게 밝히고, “구체적 내용은 미국과 긴밀히 협의하라”고 지시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 직후 북한과 대화가 진행되는 동안 한-미 연합 군사훈련을 중단하겠다고 밝힌 데 보조를 맞추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은 앞서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의 예방을 받고 북-미 정상회담 결과와 이행 방안 등을 협의했다. 문 대통령은 북-미 정상회담을 “한반도를 비롯한 세계가 전쟁과 적대의 시대에서 벗어나 평화와 번영의 시대로 나아가는 아주 역사적인 위업”이라고 평가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이날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강경화 외교부 장관, 고노 다로 일본 외상과 한·미·일 외교장관 회담을 한 뒤 기자회견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비핵화를 마칠 시점의 시급성을 알고, 이를 신속히 이행해야 함을 이해할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전날 “북한의 ‘중대한 비핵화’를 2년 반 안에 달성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밝힌 바 있어,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에서 두 정상이 비핵화 목표 시한에 공감대를 형성했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폼페이오 장관은 기자회견에서 “김 위원장이 완전한 비핵화를 선언한 것은 동북아뿐만 아니라 전세계 평화와 안정에 굉장히 중요하다”고 말했다. 대북제재 완화와 관련해선 “북한이 완전히 비핵화했다는 검증이 이뤄지기 전까지 제재 해제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전날 숙소에서 한 간담회에서는 “우리가 최종문서(공동성명)에서 볼 수 있는 것 이상으로 많은 작업이 이뤄졌다”며 “그것이 우리가 대화를 재개하면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북-미 간에 공동성명에 나온 내용 외에도 이행에 대한 구체적 대화가 오갔으며, 일정한 합의를 도출했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폼페이오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의 ‘한-미 연합훈련 중단’ 발언에 대해선 “대통령은 ‘생산적이고 선의의 협상’이 진행 중이어야 한다는 전제조건을 분명히 했다”며 “어느 시점에 그렇지 않다고 결론이 난다면 대통령의 약속은 유효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이틀간의 방한 일정을 마치고 이날 오후 중국 베이징을 방문해 시진핑 국가주석, 왕이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 등과 만났다.
유강문 선임기자, 싱가포르/이용인 특파원, 김보협 기자
mo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