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4차 아세안지역안보포럼이 열린 싱가포르 엑스포 컨벤션센터에서 만난 강경화 외교 장관과 왕이 중국 외교부장. AP 연합뉴스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3일 강경화 외교부 장관을 만나 전날에 이어 다시 “종전선언의 긍정적 역할”을 언급했다.
제25차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이하 포럼)이 열리는 싱가포르 엑스포 컨벤션센터에서 만난 두 장관은 모두발언 없이 악수를 하고 곧바로 회담에 들어갔다. 전날 중국 쪽 일정이 늦어진 탓에 연기됐던 한-중 외교장관 회담은 이날도 예정보다 1시간 반가량 늦게 시작해 30여분 동안 진행됐다. 두 장관은 주한미군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 체계 배치 문제와 한반도 정세를 비롯해 한국전쟁 종전선언 문제 등에 대해 논의를 했다.
지난해 이 포럼 때 열린 양자 회담 당시 두 장관이 ‘설전’을 벌였던 사드 문제는 이번에도 의제에 올랐다. 다만 지난해 말 양국이 관계 개선에 합의하면서 발언의 ‘강도’는 달랐던 것으로 보인다. 왕 부장은 사드가 중국의 전략적 이해관계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기본 입장을 간략하게 언급한 뒤 “사드 문제가 완전히 해결될 수 있도록 (강 장관이) 관심을 가지고 노력해달라”고 요청했다고 전해졌다. 이에 강 장관은 “양국 간 교류 협력이 정상화 되도록 중국이 더욱 적극적으로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고 한다. 중국이 한국에 대한 ‘경제 보복’을 완전히 풀지 않은 데 대한 저강도 항의를 에둘러 한 셈이다. 강 장관은 그러면서 “사드 문제는 북핵 문제가 해결됨과 동시에 자연스럽게 해결될 수 있는 문제”라고 설명했다.
왕 부장은 또 남북 관계 개선과 북-미 관계 증진이 한반도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정착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언급한 것으로 전해졌다.
종전선언을 둘러싼 중국의 입장과 관련해 왕 부장은 “어제 한국 기자의 질문에 설명한 바 있다”며 “공개적으로 중국 입장을 천명한 것”이라고 말했다고 알려졌다. 왕 부장은 전날 기자회견에서 종전선언과 관련해 “각 당사국, 특히 남북 양쪽이 종전에 대한 입장을 표명하는 것은 긍정적”이라며 “(종전선언은) 시대 발전 추세에도 완전하게 적합하고 남북을 포함한 각국 인민들의 소망에도 부합한다”고 밝혔다. 왕 부장은 이어 “(종전선언은) 일종의 정치적 선언이어서 비핵화를 견인하는 데 있어 긍정적 유용한 역할을 평가한다”고 덧붙였다.
싱가포르/김지은 기자
mira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