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4일 오전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에서 최근 한반도 비핵화 등 정세 관련 내신 기자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3년 안에 차관급이나 1급 등 고위 공무원이 맡던 재외공관장 자리가 줄어들 전망이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4일 서울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내신기자단 브리핑에서 ‘외교부 혁신’과 관련해 “차관급과 1급 상당 공관장 직위의 25%를 없애고, 실무인력 확충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강 장관은 그 이유에 대해 “새로운 외교환경에 걸맞은 효율적 인력구조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전체 재외공관장 자리는 164개로 이 가운데 차관급과 1급 자리는 모두 93개(차관급 13개, 1급 80개)다. 외교부는 이들 공관장 자리의 25%에 해당하는 23개 공관장의 직급을 3년 안에 한 단계씩 낮춰 차관급, 1급 등 고위직을 줄이는 대신 실무 인력을 충원할 계획이다. 현재 13개인 차관급 공관장 자리는 3년 안에 25%가 줄어 10개로, 80개인 1급 공관장 자리는 3년 안에 4분의 1이 줄어 60개가 된다. 외교부 관계자는 “외교부에는 고위직이 과도하게 많다는 지적이 있다”며 “(공관에 나가 있는) 고위직의 수가 적정한 지 검토하고 이를 슬림화 해 업무, 실무 중심으로 인사 구조를 재편하자는 계획이다”라고 설명했다.
이날 강 장관은 브리핑에서 공관장의 자격을 보다 엄격하게 심사하겠다는 입장도 내놨다. 그는 “엄격한 공관장 자격심사를 통해 부적격자가 공관장으로 임명되지 않도록 원천적으로 차단하겠다”며 “현재 자격심사를 통해 20%가 넘는 공관장 후보자가 탈락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360도 다면평가 강화 등을 통해 리더십 역량과 청렴성, 도덕성 등 공직자로서의 자세를 철저히 검증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 7월 잇달아 주파키스탄 및 주인도 한국 대사관에서 발생한 성범죄 사건과 관련해 강 장관은 “우리 사회의 미투운동을 봐도 알 수 있겠지만, 남성의 여성에 대한 그런 어떤 성비위 이런 것은 어떻게 보면 제도의 문제이기도 하지만 문화의 문제”라며 “하루아침에 제도를 마련했다고 해서 뿌리 뽑히는 일은 아니라는 생각을 가지고 처음부터 불관용의 원칙에 따라서 그 제도를 마련했다. 문화, 사고의 근본적인 변화를 가지고 오기 위해서 본부의 직원들에 대한 교육은 물론이고, 공관 직원들에 대한 교육을 좀 더 철저하게 시행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노지원 기자
zon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