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9일 화상으로 진행된 동아시아정상회의(EAS)에 참석하고 있다. 외교부 제공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아세안 관련 외교장관회의에 참석해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진전을 위한 국제사회의 지지를 촉구했다.
외교부는 10일 보도자료를 내 강 장관이 9일 화상으로 참석한 동아시아정상회의(EAS) 외교장관회의에서 “지난 1년간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의 진전에 어려움이 있었으나, 남·북·미 정상들이 4·27 판문점 선언, 9·19 평양공동선언, 싱가포르 공동성명에서 제시한 비전과 전략적 방향에 따라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및 항구적 평화정착을 위한 노력이 계속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또 강 장관이 “합의사항의 충실한 이행 및 대화의 조속한 재개를 위한 우리 정부의 노력에 대해 EAS를 포함한 국제사회의 지지를 요청”했다고 전했다. 강 장관은 한국 정부가 코로나19 관련 방역, 보건의료, 인도주의 분야 등 남북협력에 대한 설명도 했다고 덧붙였다.
이에 회의에 참가한 외교장관들은 한반도 비핵화 및 평화 실현에 있어 조속한 대화 재개 및 남·북·미 정상들 간 합의사항 이행의 중요성 및 유엔안보리 결의 이행의 필요성을 언급했다고 외교부는 밝혔다.
올해로 열 번째를 맞이한 이번 동아시아정상회의 외교장관회의에는 아세안 10개국과 한국, 중국, 일본, 미국, 러시아, 호주, 뉴질랜드, 인도 등 18개국이 참석했다.
외교부는 매해 미국과 중국의 신경전으로 아세안 관련 외교장관회의의 ‘뜨거운 감자’인 남중국해 분쟁과 관련해 강 장관이 “남중국해에서의 평화와 안정이 역내 번영에 있어서도 중요하다”고 언급하고 “(해당) 수역 내 항행과 상공비행의 자유 보장 및 대화를 통한 분쟁의 평화적 해결이 중요함”을 강조했다고 전했다. 또 “남중국해에서 긴장을 고조하거나 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는 행위를 방지하고 비군사화 공약을 이행하며 남중국해 행동규칙(Code of Conduct) 협의가 국제법에 합치하고 모든 국가들의 권익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고 덧붙였다. 이는 한국 정부의 기존 입장을 재확인한 것으로 새로울 건 없다. 다만 이번 회의에서도 미국과 중국이 남중국해뿐 아니라 홍콩보안법과 홍콩 선거 문제 등 제반 사항을 놓고 격돌했다고 전해져, 나날이 격화하는 미-중 분쟁 속에서 한국 정부의 고민이 한층 깊어지는 계기가 됐을 것으로 보인다.
김지은 기자
mira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