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정기관 입수 자료를
청와대 방어용으로 활용했다면,
국가기강에 관련된 문제”
“여러 사람이 배역 맡은 듯”
청와대 방어용으로 활용했다면,
국가기강에 관련된 문제”
“여러 사람이 배역 맡은 듯”
노회찬 정의당 원내대표가 송희영 <조선일보> 전 주필의 비리 의혹 관련 자료를 김진태 새누리당 의원이 입수한 경위에 대해 “사정 기관에 의해 입수된 자료가 청와대에 보고되고, 청와대가 이걸 반격 자료로 썼다면, 권력이 사적으로 남용된, 국가 기강에 관련된 문제”라고 주장했다.
노 의원은 31일 <와이티엔>(YTN) ‘신율의 출발 새아침’에 나와 “하나의 큰 그림, 우병우 민정수석을 구하고 청와대를 보호하기 위한 작전에 여러 사람이 배역을 맡아서 등장하고 있는 게 아닌가”라며 이렇게 말했다. 그는 “청와대 관계자가 ‘부패 기득권 세력’ 이야기를 했고 닷새만에 김 의원이 여러 자료를 공개했다”며 “‘부패 기득권 세력’이라고 발언한 청와대 인사는 발언 당시 닷새 후 김 의원이 공개할 자료를 다 봤던 사람”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청와대가 직접 그걸 공개하면서 언론을 공격하지 못하니까 김 의원이 나선 게 아닌가”라며 “청와대가 이 자료를 (미리)보지 않았다면 ‘부패 기득권 세력’이라는 말을 일주일 전에 했을 리가 없다”고 덧붙였다.
노 의원은 “청와대 비서실이 피의자인 우 수석의 변호인으로 사건을 수임한 것처럼 보인다. 연일 우 수석을 변호하는 다양한 이야기들을 흘려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청와대가 관계자 발언이라고 해서 내놓은 입장을 보면, 우 수석은 무죄고 이석수 특별감찰관은 유죄라는 것”이라며 “이런 이야기를 청와대가 공개적으로 하고 있는 상황에서 검찰 수사가 과연 공정하게 진행될지 대단히 우려스럽다”고 덧붙였다.
김원철 기자 wonchul@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