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22일 오는 9월말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 유엔총회에서 남북·북-미 관계 개선의 결과물을 전 세계가 공유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남북 관계, 북미 관계에 속도가 나서 유엔이라는 큰 무대에서 그 결과를 전 세계와 함께 공유하는 자리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며 “그러나 그게 실현될지 여부는 좀더 지켜봐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반도 비핵화 로드맵과 종전선언 시기·방식 등을 논의할 것으로 보이는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의 방북과 9월 평양 남북정상회담을 앞두고, 남-북-미 연쇄 회담의 결실이 유엔총회로 이어지기를 바라는 희망을 조심스럽게 피력한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김 대변인은 4·27 판문점 선언을 통해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합의한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둘러싼 국제사회 대북제재 위반 논란에 대해 “도도한 물결에 큰 걸림돌이나 장애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미 평양에는 영국과 독일을 포함해 각 국 대사관이 스물 네 곳이 있다. 개성 공동연락사무소는 그런 대사관보다도 훨씬 낮은 단계”라며 “연락사무소가 발전해야 대표부 정도 되고 더 발전해야 평양에 정식 대사관이 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런 관계를 생각해보면 지금 공동연락사무소를 가지고 시시비비를 가리는 것 자체가 너무 협소한 문제”라고 강조했다.
앞서, 김 대변인은 지난 20일 브리핑에서 “우리 정부는 남북공동연락사무소가 국제제재 위반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며 “상시적인 소통 체제 유지로 결국 북-미 간 비핵화 협상을 촉진하는 데 기여를 하게 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김보협 기자
bh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