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의 친서를 들고 방북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만나고 돌아온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6일 오전 청와대 춘추관에서 김 위원장 면담 등 방북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왼쪽부터 윤건영 국정기획실장, 천해성 통일부 차관.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13일 “닷새 앞으로 다가온 남북 정상회담에서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정착을 위한 다각적 대화와 노력들이 하나로 모아져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또 하나의 큰 전기가 마련될 것”이라며 “조만간 북한과 미국의 정상이 다시 한 번 마주 앉아 또 하나의 통 큰 결단을 내리는 장면도 충분히 실현 가능할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정 실장은 이날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서울안보대화 기조연설에서 이렇게 밝힌 뒤 “우리 정부는 이번 정상회담이 한반도 평화과정에 다시 한 번 돌파구를 마련하여 북-미 대화와 비핵화 진전을 추동할 또 하나의 결정적 계기가 되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정 실장은 특히 “지난번 남북 정상의 만남에서는 완전한 비핵화라는 공동목표에 대한 확인이 있었다. 이번 만남에서는 양 정상간 더 깊이 있고 구체적인 비핵화 방안을 논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4·27 판문점 1차 정상회담에서 비핵화 목표 확인에 그쳤다면, 이번엔 비핵화 시기와 방식에 대한 구체적인 합의까지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본 것이다.
지난 7일 문재인 대통령의 특사로 평양을 다녀온 정 실장은 “김 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자신의 깊은 신뢰에는 아무런 변화가 없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첫 임기 내에 북미간 오랜 적대적 역사를 청산하고 비핵화를 실현하고 싶다는 강한 의지를 밝혔다”고 전하면서 “북한 최고지도자가 직접 비핵화의 시간표를 언급한 것은 처음”이라고 말했다. 이어 “남북간 군사적 긴장 완화가 북한 비핵화를 촉진할 것”이라며 “현재 진행 중인 군사 분야에서의 포괄적 협력 방안에 관한 협의를 다음 주 남북정상회담 계기로 종결짓고 상호 군사적 신뢰구축과 무력충돌 방지에 관한 합의를 도출하도록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비무장지대 경비초소 철수 등을 통한 평화지대화, 서해 평화수역 설치 등이 합의될 것으로 관측된다.
그는 14일 문을 여는 개성 남북 공동연락사무소에 대해 “양측은 이제 더 이상 만남 그 자체를 두고 실랑이를 벌이지 않아도 되는 상시연락체계를 갖게 된 것”이라며 “남북관계 제도화의 획기적인 토대를 제공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보협 기자
bh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