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9일 청와대 본관 집무실에서 <타임> 표지 촬영과 화상인터뷰를 했다고 24일 밝혔다. 사진은 <타임> 표지. 타임 누리집 갈무리
문재인 대통령이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과의 인터뷰에서 “(한반도 평화 증진을 위한) 시간이 나에게 많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다”며 “지금은 평화가 유지되고 있지만, 언제든지 흔들릴 수 있는 취약한 평화”라고 말했다. 코로나19 백신 지원 등 다방면으로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를 향해 손짓하고 있지만, 1년도 남지 않은 임기가 끝나면 과거와 같은 전쟁 위험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를 내비친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의 <타임> 인터뷰는 취임 직후인 2017년 5월에 이어 4년 만이다. 당시 표지엔 ‘협상가’라는 제목이 붙었지만, 24일 온라인으로 공개된 이번 표지는 ‘마지막 제안’이라는 제목으로 소개됐다.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의 전망을 담은 관련 기사에서, 문 대통령은 2018년 9월19일 평양 능라도 5·1경기장 연설 당시, 15만 북한 관중의 “눈빛과 태도”를 통해 그들 역시 “평화에 대한 열망이 크다”고 했고 “북한이 매우 달라졌으며, 발전하기 위해 전력을 기울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또 김 총비서의 성격을 묻는 질문에 문 대통령은 “매우 솔직하고, 의욕적이며 강한 결단력을 가지고 있다. 국제적인 감각도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김 총비서가 자신에게 “우리 미래 세대들에게 더 나은 미래를 물려주어야 하며 우리 아이들까지 핵을 머리에 이고 살게 할 수 없다”고 진지하게 말했다고 거듭 전했다.
문 대통령은 비핵화와 제재 완화의 지속적인 “순환”이 결국 핵탄두,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과 같은 북한의 가장 치명적인 자산을 (협상) 테이블 위에 올려놓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타임>은 “북한이 합의를 어긴 전적을 감안할 때, 미국을 설득해 최고의 지렛대를 포기하도록 하는 것은 무리한 요구”라고 지적했다.
<타임>은 ‘북한 관측통’을 인용해 하노이 정상회담 이후 문 대통령이 미국 편에 서서 미국 스텔스기(F-35) 40대를 구매한 것에 김 총비서가 배신당했다고 느꼈으며, 임기 막바지인 문재인 정부와 협상을 할 이유가 없다는 얘기도 덧붙였다. 조 바이든 대통령에게도 코로나19와 지구 온난화, 중국의 부상과 같은 더 시급한 문제들이 산적해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이완 기자
wan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