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11일 서울 서초구 자택에서 용산 대통령실 청사로 출근하기 위해 차량에 탑승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이 11일 서울 서초구 자택에서 용산 대통령실까지 첫 출근하는 데 걸린 시간은 약 8분이었다. 경찰의 사전 교통 통제로 동선을 관리하면서 우려했던 교통 정체는 없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8시21분 김건희 여사와 함께 반려견 2마리를 끌고 서초동 아크로비스타 앞에 모습을 드러냈다. 약 2분 뒤 윤 대통령은 차량을 타고 출발했고 8분 만인 8시31분, 대통령 집무실로 통하는 용산 미군기지 13번 출입구에 도착했다. 6.4㎞ 거리로 평소에는 약 15분이 걸리는 구간이었다. 서초동에서 반포대교로 넘어가는 서울성모병원 사거리는 출근길 대표적인 정체구역이지만 교통 통제로 인한 큰 혼잡은 없었다. 경찰은 윤 대통령 출근길에 도로를 전면 통제하지 않고 한두개 차로만 확보해서 길을 텄다. 실제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차를 타고 반포대교를 건너던 시민이 옆 차선에서 이동하는 대통령 차량 행렬을 촬영한 영상을 올리기도 했다.
다만 윤 대통령의 출근시각은 예상보다 늦었다. 직장인 출근시간대를 피해 이른 아침 7시 전후에 집을 나설 것이란 전망이 많았지만, 윤 대통령은 오전 8시23분, 이른바 ‘러시 아워’에 집을 나섰다. 경찰청 관계자는 “혼잡시간대였지만 대통령 출근으로 인해 서울 일대에 교통이 막힌 곳은 없었다. 출근시간은 그날 일정에 따라 그때그때 다를 것”이라고 했다. 윤 대통령의 서초-용산 출·퇴근은 한남동 공관 리모델링이 끝나는 다음달 초·중순까지 계속된다. 경찰은 교통 상황과 경호 사정에 따라 대통령 출근 경로로 반포대교 뿐만 아니라 동작대교·한남대교·한강대교도 이용할 계획이다. 윤 대통령이 한남동 공관에 입주한 뒤엔 대통령의 출·퇴근길은 약 3㎞로 줄어든다.
윤석열 대통령 차량 행렬이 11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초중앙로를 지나 용산 대통령 집무실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용산 청사에 도착한 윤 대통령은 첫 출근 소감을 묻는 취재진에게 “어제 제가 취임사에 통합 이야기가 빠졌다고 지적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통합을 거론하지 않은 건) 너무 당연한 것이기 때문”이라며 입을 열었다. 취임사에서 우리 사회 가장 시급한 과제인 통합 메시지가 빠졌다는 지적이 나오자 먼저 해명에 나선 것이다. 윤 대통령은 “우리 정치 과정 자체가 국민통합의 과정”이라며 ”통합을 어떤 가치를 지향하면서 할 것이냐를 이야기한 거다. 그렇게 이해를 해달라”고 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처음으로 주재한 수석비서관 회의에서도 “헌법이라는 것이 국민이 하나로 통합되기 위한 규범”이라며 자신이 통합이라는 가치를 간과하고 있지 않으며, 이는 ‘자유’와도 연결된다는 점을 거듭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우리가 기본 가치는 서로 공유하고 함께 가야 하는 것”이라며 “복지나 교육, 약자에 대한 따뜻한 배려 이런 것들이 자유시민으로서 연대를 강화해야 한다는 책무에 따른 것이라는 인식을 해야 한다. 이에 대한 공감대와 공동의 가치를 갖고 갈 때 진정한 국민통합, 국민이 하나가 될 수 있지 않느냐”고 말했다.
배지현 기자
beep@hani.co.kr 박수지 기자
suj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