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문규 국무조정실장이 4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이태원 참사 수습 상황 및 향후 계획 등 중대본 회의 주요 논의사항을 브리핑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우성 외교부 해외안전관리기획관, 우종수 경찰청 차장, 방문규 국무조정실장, 김성호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 연합뉴스
‘이태원 참사’ 당시 경찰과 소방, 지방자치단체 등을 연결하는 재난안전통신망이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성호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4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이태원 참사 중앙재난안전관리대책본부(중대본) 브리핑에서 “재난안전통신망은 버튼만 누르면 유관기관 간 통화를 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추고 있지만 이번에는 그 부분이 잘 작동이 안 됐다”고 말했다. 재난안전통신망은 경찰, 소방, 해양경찰 등 재난 관련 기관이 하나의 통신망으로 소통할 수 있는 전국 단일 통신망이다.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필요성이 부각돼 지난해 구축 완료됐다.
정부는 통신망 자체에 문제가 있었던 것은 아니지만, 실제 활용을 위한 훈련이 미비했던 것으로 보여진다고 해명했다. 김 본부장은 이와 관련 “재난안전 통신망에 문제가 있다거나 통화가 안 됐다든가 하는 상황은 발생하지 않았다”며 “다만 유관기관 간 통화를 해야 되는데 그룹으로 묶어놓은 부분들을 사용을 안 했다는 그런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 통신망을 통해 기관 내부의 통화는 원활히 이뤄졌지만, 유관기관 간 소통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그는 유관 기관 간 소통이 이뤄지지 않은 것과 관련 “현장에서 활용하는 훈련을 하도록 하고 있는데 그런 부분이 좀 부족하지 않았을까 싶다”고 답했다.
김 본부장은 또 ‘해상사고와 달리 육상사고 112 신고가 행안부 상황실로 전달되지 않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된 데 대해 “해상에서의 사고는 성격상 재난이 될 우려가 크기 때문에 해경의 정보가 112로 우리(행안부) 재난상황실로 들어온다”며 “육상에서 112 신고는 경찰 사건이나 이런 부분들이 재난하고 다른 측면도 있다”고 말했다. 김 본부장은 “현재 법 체계상 보고체계가 갖추어져 있지 않아 저희가 그 정보를 접수하지 못한 측면이 있다”고 했다.
한편, 정부는 이태원 참사 희생자와 가족 등을 지원하는 ‘원스톱 통합지원센터’를 설치한다고 밝혔다. 원스톱 통합지원센터는 희생자 가족 등에 대한 장례, 부상자 치료, 구호금 지급, 심리치료·상담 등 각종 지원을 통합한 기구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소속으로 통합민원실 형태로 운영될 계획이다. 아울러 오는 7일 대통령 주재 ‘국가안전시스템 점검회의’를 열어 112‧119 긴급구조 시스템 정비와 다중인파 관리 등을 포함한 국가안전 시스템을 논의한다.
김해정 기자
se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