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한나라당 대표는 9일 이해찬 총리의 '골프 파문'에 대해 "일국의 총리가 책임이 얼마나 무거운가. 국민의 지탄을 받을 사안"이라며 "한두번도 아니고 이런 일이 반복돼서 국정이 제대로 이뤄질 수 있겠는가"라고 비판했다.
일본을 방문중인 박 대표는 이날 도쿄 데이코쿠(帝國) 호텔에서 특파원 간담회를 갖고 "이 총리가 국민에게 사과하고 사의 표명도 한 만큼 대통령의 순방 후 결과를 지켜보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나 박 대표는 '최연희 성추행 파문'에 관한 자신과 당의 입장은 밝히지 않았다.
박 대표는 한.일 관계와 관련 "중요한 것은 현안이 해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불편하면서도 감정적으로 서로 말을 안하거나 해서는 해결되지 않는다"며 "지금 한.일 사이에 거의 대화가 끊겨 있는 상황이 아닌가"라며 현 정부의 대일(對日) 정책에 다소의 불만을 표명했다.
또 "가해자와 피해자의 문제는 천년의 역사가 흘러도 끝날 수 없는 사안인 만큼 일본 정치 지도자들도 한국인의 정서를 배려해 행동함으로써 해결을 모색하는 적극적인 의지와 행동을 보여주어야 한다"며 일본 정치권의 각성도 아울러 요청했다.
특히 일본의 유력한 차기총리로 거론되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관방장관을 만나서는 동아시아 경제공동체의 창설과 한.일 자유무역협정(FTA), 북핵 6자회담 등의 진전을 위해 한.일 양국의 역할이 중요하나 "과거사에 끌려 한발짝도 나아갈 수 없는 상황"이라고 지적하며 일본의 결단을 촉구했다고 전했다.
박 대표는 "과거 때문에 미래로 나갈 수 없다면 후손들에게도 불행"이라며 "우리 세대에서 과거사의 짐을 반드시 해결하고 다음 세대에게는 이런 고통을 넘겨주지 말자고 일본 정치 지도자들에게 말했다"며 "과거에 발목 잡혀 양국이 득이 될 게 뭐냐"며 '미래 지향'을 거듭 강조했다.
박 대표는 일본의 불황 탈출과 경제회복에 언급하며 "기업이 일자리를 많이 만들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정부의 역할"이라며 "민간 자율이 주가 되는 경제정책으로 바꿔야 한다"며 경제 운용과 관련한 정부의 역할이 축소돼야 한다는 소신을 피력했다. 박 대표를 수행중인 이계진(李季振) 한나라당 대변인은 박 대표가 일본 지도자들과의 만남에서 재일교포의 참정권 문제에 대한 진지한 검토를 거듭 요구했으며 동아시아 공동체의 창설을 위한 협력을 강조했다고 밝혔다. 신지홍 특파원 (도쿄=연합뉴스) shin@yna.co.kr
박 대표는 일본의 불황 탈출과 경제회복에 언급하며 "기업이 일자리를 많이 만들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정부의 역할"이라며 "민간 자율이 주가 되는 경제정책으로 바꿔야 한다"며 경제 운용과 관련한 정부의 역할이 축소돼야 한다는 소신을 피력했다. 박 대표를 수행중인 이계진(李季振) 한나라당 대변인은 박 대표가 일본 지도자들과의 만남에서 재일교포의 참정권 문제에 대한 진지한 검토를 거듭 요구했으며 동아시아 공동체의 창설을 위한 협력을 강조했다고 밝혔다. 신지홍 특파원 (도쿄=연합뉴스) shin@yna.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