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파주시 파주영어마을에서 지난달 시범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이 원어민 교사와 함께 시청 앞 광장을 지나고 있다. 파주/연합뉴스
교육부총리 “수천억원 평중투자 비효율적… 그만 지어야”
경기도 “국가 지원해야… 야당 업적 흠집내기” 반발
경기도 “국가 지원해야… 야당 업적 흠집내기” 반발
교육부가 경기도에서 시발된 영어마을 짓기 열풍에 제동을 걸자 3일 파주 영어마을 개원식을 갖는 경기도가 ‘선거용 발언”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김진표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장관은 지난 31일 지방자치단체들의 영어마을 설립 열풍에 “영어마을은 그만 만들어야 한다”고 일침을 놓았다. 영어마을 짓는데 2천억∼3천억원이 들고 운영비로도 연간 비슷한 돈이 들어가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김 부총리는 “영어마을의 연간 운영비만으로 경기도내 각 학교에 1억원 이상씩 지원할 경우 원어민 교사 3명을 채용할 수 있다”며 “원어민 교사의 채용이 학생들의 영어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더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이날 발언은 경기도내 초등학교 교장 등 900명을 상대로 한 회의에서 나왔다.
김 부총리의 발언이 알려지자 경기도는 즉각 성명을 내 “돈이 없어 해외연수도 못보내는 학부모들의 심정을 조금이라도 헤아려야 한다"며 "오히려 영어마을은 교육부가 국책사업으로 선정해서 전국으로 확대해야 할 사안”이라고 반박했다.
경기도는 2일 한발 더 나아가 김 부총리 발언을 ‘선거용’ 이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이수원 경기도 공보관은 “정부·여당이 지방선거에 올인하면서 상대당 주요 업적에 흠집을 내 지방선거를 유리하게 끌고가려는 정치적 계산이 작용한 의심이 든다”고 말했다. 특히 “도교육청도 영어마을을 교육과정의 하나로 인정하고 같이 가려는 마당에 교장들을 모아놓은 자리에서 교육부의 수장이 영어마을을 그만 만들라고 하는 것은 고추가루를 뿌리는 격”이라고 불만을 터트렸다. ‘영어마을’은 지난 지방선거에서 손학규 경기지사와 이명박 서울시장의 선거공약이었다. 특히 경기도가 영어 캠프를 잇따라 조성하면서 전국 자치단체들로 영어마을 짓기 열풍이 확산됐다.
그러나 경기도가 안산 파주 양평 등 3곳에 영어마을을 세우며 투자하는 돈은 1736억원. 여기에 매년 30억∼40억원씩 영어캠프운영비로 쓰고 있다. 이 때문에 영어마을에 대한 투자가 일반 학생들의 영어실력 향상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 지를 놓고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수원/홍용덕 기자ydh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