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 흥행몰이로 역전 기대…외부인사 참여 ‘정계개편’ 효과도
이명박·손학규쪽 ‘당심 넘을 지렛대’로…박근혜쪽은 부정적
이명박·손학규쪽 ‘당심 넘을 지렛대’로…박근혜쪽은 부정적
2007년 대선을 1년5개월 앞둔 시점에서 정치권이 대선후보 선출방식을 놓고 신경을 곧추세우는 이유는 자명하다. 후보 선출방식은 ‘대선 승부’의 비밀을 풀어줄 중요한 열쇳말이기 때문이다.
열린우리당은 비상대책위원회에서 이미 완전국민경선제 도입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당내 주요 대선주자들도 제도 도입을 적극 환영하는 분위기다. 국민 지지도가 5%를 넘는 대선주자를 확보하지 못한 열린우리당에선 대선후보 선출과정에서 국민들의 관심을 붙들고 흥행을 성공시켜 역전의 발판을 도모하자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
이 제도 도입엔 또 외부 인사들에 대한 문호개방이라는 의미도 담겨 있다. 당 내부 대선주자들의 기득권이 무의미해져 외부 인사들의 경선참여 가능성을 높여준다는 얘기다.
이 때문에 완전국민경선제는 정계개편을 촉진시키는 요인으로도 작용한다. 이를테면, 열린우리당 내부에 특별한 기반이 없는 고건 전 국무총리가 큰 저항감 없이 경선에 참여할 수 있고, 이 경우 자연스럽게 그를 지지하는 정치세력과의 통합이 이뤄질 수 있다는 것이다.
반면, 한나라당 후보 선출방식 논의의 밑바닥엔 쟁쟁한 후보들이 각자의 유불리를 따지는 현실적 셈법이 깔려 있다. ‘빅3 대선주자’들을 놓고 보면 ‘박근혜 대 이명박·손학규’로 갈리는 형세다.
박 대표 쪽은 “시행도 해보기 전에 손을 대는 것은 옳지 않다”며 선출 방식 변경에 부정적이다. 이런 태도엔 박 대표가 당내 조직에서 상대적으로 유리하다는 판단이 깔려 있음은 물론이다. 당내에는 전체 243개 당원협의회 가운데 70% 이상이 ‘친 박근혜’ 성향의 위원장으로 채워져 있다는 말이 공공연하게 나돈다.
이명박 전 서울시장 쪽과 손학규 전 경기지사 쪽이 “민심을 더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이런 구조적인 ‘당심의 벽’을 뛰어넘으려는 의도다. 일반 국민의 참여 비중을 더 높이면 당내 지지기반의 열세를 극복할 여지가 넓어진다는 것이다.
실제로 오세훈 서울시장의 경우, 당내 경선에서 당원투표는 졌지만 여론조사의 압도적 지지로 시장후보로 선출됐다. 반대로 이재오 최고위원은 7·11 전당대회에서 여론조사는 1등을 하고도 대의원 투표에서 밀려 2위에 그쳤다. 이 전 시장이나 손 전 지사를 더욱 ‘민심’에 기대게 만든 선례다.
강재섭 대표는 일단 “특정인의 유·불리와 관계 없이 지금의 룰로 해야 한다”고 후보 선출 방식 변경에 부정적인 뜻을 밝혔다. 하지만 ‘게임의 룰’은 유연성있게 접근하는 게 전략적으로 좋다는 공감대가 당내에 퍼져 있어, 내년 상반기로 예정된 대선후보 경선이 임박할수록 후보 선출 방식에 대한 재논의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임석규 황준범 기자 sky@hani.co.kr
미국의 대선후보 선출은? 주마다 할당된 대의원 뽑는 예비선거
40곳은 일반유권자, 15곳은 당원 참여 미국 민주당과 공화당은 대선후보를 뽑는 ‘예비선거’에 두 가지 방식을 혼용하고 있다. 일반 유권자가 참여하는 ‘프라이머리’와 당원들이 참여하는 ‘코커스’인데, 예비선거를 실시하는 55개 지역 가운데 40곳 정도가 프라이머리 방식이다. 예비선거는 1~2월께 아이오와 코커스와 뉴햄프셔 프라이머리를 시작으로 4개월여에 걸쳐 줄지어 열린다. 특히 캘리포니아·뉴욕 등 5~6개 주에서 동시에 선거가 실시되는 3월 첫째 화요일은 ‘대세’를 판가름하는 ‘수퍼 화요일’로 불린다. 이런 방식에선 초반에 승기를 잡지 못하면 후보가 되기 어렵다. 초반에 우세한 후보에게 표가 몰리는 ‘밴드왜건’ 효과 때문이다. 초반에 뒤처진 후보는 ‘당의 단결’을 위해 경선을 포기하는 경우가 많고, 무명의 인물이 전국적 인물로 떠오르기도 한다. 지난 2004년 민주당 예비선거에서도 약세였던 존 케리 후보가 하워드 딘 후보를 아이오와와 뉴햄프셔에서 제치면서 승기를 잡았다. 엄밀히 말하면, 예비선거는 주마다 할당된 수의 대의원을 뽑는 간접 선거다. 그러나 대의원 출마자들이 특정 대선후보에 대한 지지 의사를 명백하게 밝히기 때문에, 사실상 대선후보를 직접 뽑는 것과 마찬가지다. 예비선거에서 선출된 대의원들은 전당대회를 열어 대선후보를 최종 확정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지은 기자 jieuny@hani.co.kr
강재섭 대표는 일단 “특정인의 유·불리와 관계 없이 지금의 룰로 해야 한다”고 후보 선출 방식 변경에 부정적인 뜻을 밝혔다. 하지만 ‘게임의 룰’은 유연성있게 접근하는 게 전략적으로 좋다는 공감대가 당내에 퍼져 있어, 내년 상반기로 예정된 대선후보 경선이 임박할수록 후보 선출 방식에 대한 재논의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임석규 황준범 기자 sky@hani.co.kr
미국의 대선후보 선출은? 주마다 할당된 대의원 뽑는 예비선거
40곳은 일반유권자, 15곳은 당원 참여 미국 민주당과 공화당은 대선후보를 뽑는 ‘예비선거’에 두 가지 방식을 혼용하고 있다. 일반 유권자가 참여하는 ‘프라이머리’와 당원들이 참여하는 ‘코커스’인데, 예비선거를 실시하는 55개 지역 가운데 40곳 정도가 프라이머리 방식이다. 예비선거는 1~2월께 아이오와 코커스와 뉴햄프셔 프라이머리를 시작으로 4개월여에 걸쳐 줄지어 열린다. 특히 캘리포니아·뉴욕 등 5~6개 주에서 동시에 선거가 실시되는 3월 첫째 화요일은 ‘대세’를 판가름하는 ‘수퍼 화요일’로 불린다. 이런 방식에선 초반에 승기를 잡지 못하면 후보가 되기 어렵다. 초반에 우세한 후보에게 표가 몰리는 ‘밴드왜건’ 효과 때문이다. 초반에 뒤처진 후보는 ‘당의 단결’을 위해 경선을 포기하는 경우가 많고, 무명의 인물이 전국적 인물로 떠오르기도 한다. 지난 2004년 민주당 예비선거에서도 약세였던 존 케리 후보가 하워드 딘 후보를 아이오와와 뉴햄프셔에서 제치면서 승기를 잡았다. 엄밀히 말하면, 예비선거는 주마다 할당된 수의 대의원을 뽑는 간접 선거다. 그러나 대의원 출마자들이 특정 대선후보에 대한 지지 의사를 명백하게 밝히기 때문에, 사실상 대선후보를 직접 뽑는 것과 마찬가지다. 예비선거에서 선출된 대의원들은 전당대회를 열어 대선후보를 최종 확정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지은 기자 jieun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