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 “국정 누수 최소화 위해 필요” 군불
당에선 “부산정권 발언 등 문제” 거부
당에선 “부산정권 발언 등 문제” 거부
“임기말 최선”-“민심 역행” 줄다리기
청와대와 열린우리당이 또다시 개각을 둘러싼 줄다리기에 들어갔다. 문재인 전 청와대 민정수석을 법무부 장관으로 검토하는 청와대의 기류와, 이를 ‘민심역행’으로 해석하는 여당의 시각이 엇갈리는 탓이다.
이병완 청와대 비서실장이 3일 ‘대통령의 인사권 존중’을 강조하고 나서자, 여당 쪽에선 청와대가 ‘문재인 법무장관 카드’를 밀어붙이려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다.
청와대 쪽은 “왜 ‘문재인 법무부 장관’은 안된다는 것이냐”고 반문한다. 1년반 남은 국정운영의 누수를 최소화하려면 대통령과 국정철학을 공유하며, 믿을 수 있고, 대통령과 의사소통이 원활한 인물이어야 하는데, 문 전 수석보다 나은 인물을 고르기 어렵다는 것이다.
또 자질과 능력, 전문성이라는 측면에서도 변호사 출신에 민정수석을 두 차례나 역임한 그에게 무슨 하자가 있느냐는 게 청와대의 시각이다. 이런 판단은 “당에서도 (문 전 수석이) 능력 있고 인품도 훌륭하다고 하던데, 그 이상 바랄 자질이 뭐가 있느냐”는 이 비서실장의 발언에 압축적으로 담겨있다.
하지만 여당의 생각은 다르다. 김근태 의장은 지난 2일 기자들과 만나, “개인적으로는 법무부 장관으로 가장 적합한 인물이라고 본다. 하지만 국민들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 것 같다”고 문재인 전 수석을 평했다.
이 말은 열린우리당 대다수 의원들의 고민이기도 하다. ‘문재인 법무장관 카드’에 대해 의원들은 “대통령 하반기 국정과제 수행에 가장 도움이 되는 인물”이라고 말한다. 개혁성과 청렴도에도 후한 점수를 매긴다. 김 의장은 “자꾸 ‘코드인사’라고 하는데, 정권을 잡는 이유는 자신과 철학을 공유하는 인물을 등용해 정책을 펴는 ‘코드인사’를 하려는 것”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그런데도 결론은 ‘반대’다. 당에서 추천한 법무부 장관의 이름까지 언론에 공개하며 ‘문재인 절대 불가’의 배수진을 쳤다.
의원들이 주장하는 ‘문재인 비토(거부)’의 주된 논거는 ‘민심을 거스르는 인사’라는 것이다. ‘왕의 남자’는 안된다는 얘기다. 한 재선 의원은 “국민들은 같은 인물이 청와대와 내각을 끊임없이 오가는 ‘회전문 인사’에 염증을 느끼고 있다”며 “국민들은 가뜩이나 인기도 없는 정권이 자기들끼리만 돌아가면서 출세한다고 욕하고 있다”고 거침없이 청와대를 공격했다. 문 전 수석이 지난 5·31 지방선거를 앞두고 했던 이른바 ‘부산정권’ 발언에 대한 비판도 적지 않다. 호남 쪽의 한 초선 의원은 “문 전 수석의 ‘부산정권’ 발언은 호남인들에게 돌이킬 수 없는 상처를 줬다”며 “그런 인물을 다시 중용한다는 것은 호남에 대한 상처를 더 키우는 것”이라고 했다. 이른바 ‘386’ 출신인 한 의원은 “현재 국민들이 바라는 법무부 장관은 중도개혁적인 인물이 아니겠느냐”며 “문 전 수석에겐 좌파라는 이미지가 있는 게 문제”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하지만 문 전 수석의 입각을 좌절시킨다고 문제가 끝나는 것은 아니다. 인사권을 훼손당한 청와대 전체의 권위가 무너질 수 있고, 이는 당·정·청 동반 몰락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어차피 당·청은 한 몸이다. 여권의 한 인사는 “노무현 대통령에게 문재인 전 수석이란 믿을 만한 측근이 꼭 필요하다면 법무부 장관이 아닌 청와대 비서실장이 더 적합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태희 기자 hermes@hani.co.kr
의원들이 주장하는 ‘문재인 비토(거부)’의 주된 논거는 ‘민심을 거스르는 인사’라는 것이다. ‘왕의 남자’는 안된다는 얘기다. 한 재선 의원은 “국민들은 같은 인물이 청와대와 내각을 끊임없이 오가는 ‘회전문 인사’에 염증을 느끼고 있다”며 “국민들은 가뜩이나 인기도 없는 정권이 자기들끼리만 돌아가면서 출세한다고 욕하고 있다”고 거침없이 청와대를 공격했다. 문 전 수석이 지난 5·31 지방선거를 앞두고 했던 이른바 ‘부산정권’ 발언에 대한 비판도 적지 않다. 호남 쪽의 한 초선 의원은 “문 전 수석의 ‘부산정권’ 발언은 호남인들에게 돌이킬 수 없는 상처를 줬다”며 “그런 인물을 다시 중용한다는 것은 호남에 대한 상처를 더 키우는 것”이라고 했다. 이른바 ‘386’ 출신인 한 의원은 “현재 국민들이 바라는 법무부 장관은 중도개혁적인 인물이 아니겠느냐”며 “문 전 수석에겐 좌파라는 이미지가 있는 게 문제”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하지만 문 전 수석의 입각을 좌절시킨다고 문제가 끝나는 것은 아니다. 인사권을 훼손당한 청와대 전체의 권위가 무너질 수 있고, 이는 당·정·청 동반 몰락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어차피 당·청은 한 몸이다. 여권의 한 인사는 “노무현 대통령에게 문재인 전 수석이란 믿을 만한 측근이 꼭 필요하다면 법무부 장관이 아닌 청와대 비서실장이 더 적합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태희 기자 hermes@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