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상호 열린우리당 대변인이 6일 오후 서울 영등포 당사에서 기자들에게 노무현 대통령과 열린우리당 지도부의 청와대 오찬 간담회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강재훈 선임기자 khan@hani.co.kr
수습국면 당·청 갈등 ‘문재인’ 발언서 비롯
‘경제계와 뉴딜’도 안팎 비난 잇따라
‘경제계와 뉴딜’도 안팎 비난 잇따라
“심기일전해서 열심히 하겠다.”
김근태 열린우리당 의장은 6일 청와대에서 열린 당·정·청 오찬 간담회가 마무리될 때 “걱정하고 왔는데, 잘 정리된 것 같다”며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인사 파동을 둘러싸고 최악의 충돌로 치닫던 당·청 관계가 일단 수습 국면으로 들어선 것에 대한 안도의 표현인 셈이다.
그러나 이번 당·청 갈등으로 김 의장은 적지 않은 정치적 부담을 안게 됐다는 평가가 많다. 우선 지난 2일 그가 한 ‘문재인 법무부 장관 불가’ 발언이 언론을 통해 공개되면서 당·청 갈등에 불을 지른 당사자로 지목받았다. 이 때문에 김 의장은 이날 간담회에서 “당의 의견 전달 과정에서 (반대 의견이) 공개된 것에 대해서는 실수가 있었고, 죄송하게 생각한다”고 자세를 낮췄다.
김 의장은 또 ‘문재인 불가 발언’으로, 당내 친노직계와 참여정치실천연대 등 그동안 우호적 관계를 유지해 왔던 세력들로부터도 반발을 샀다. 김병준 교육부총리 파문 때 소리나지 않게 적극적 역할을 함으로써 리더십 비판론을 잠재웠던 것과 견줘 ‘뼈아픈 실수’라 할 만하다.
노 대통령이 이날 김 의장의 면전에서 ‘바깥의 선장’이라는 표현으로 대선후보 외부 영입 가능성을 내비친 것도 그로선 곤혹스런 대목이 아닐 수 없다.
그렇지만 이번 인사 파동 국면에서 김 의장이 전적으로 손해를 입었다고 속단하긴 어렵다. 당이 나름의 목소리를 냈고, 청와대와의 소통 채널도 만들어내기로 합의했다. 무엇보다 논란의 핵심인 문재인 전 수석의 법무부 장관 임명 여부는 아직 결론이 나지 않은 상황이다.
김 의장은 이날 간담회에서 ‘실수’를 인정하면서도, 작심한 듯 준비한 얘기를 쏟아냈다고 한다. 그는 “(김병준 교육부총리 문제와 관련한 당·정·청) 4자 회동의 내용이 청와대에 전달이 잘 안 됐고, 대통령에게 두 번이나 면담 요청을 했는데도 기별이 없더라”라고 불만을 나타낸 것으로 알려졌다.
김 의장은 그동안 의욕적으로 추진해온 ‘경제계와의 뉴딜’ 등 민생경제 행보에 계속 주력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김 의장의 핵심 측근은 “당·청 갈등이 수습된 만큼, 앞으로 서민경제 활성화와 사회적 대타협이라는 김 의장의 승부수를 본격적으로 가동할 수 있게 됐다”며 “(당·청 갈등에 쏠렸던) 국민들의 시선도 돌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열린우리당 관계자는 “지금 상황에서는 김근태가 아니라 누가 오더라도 의장은 욕을 먹을 수밖에 없다”며 “어찌됐든 김근태 체제가 최대한 순항할 수 있도록 힘을 모아야 할 때”라고 밝혔다. 이지은 기자 jieuny@hani.co.kr
열린우리당 관계자는 “지금 상황에서는 김근태가 아니라 누가 오더라도 의장은 욕을 먹을 수밖에 없다”며 “어찌됐든 김근태 체제가 최대한 순항할 수 있도록 힘을 모아야 할 때”라고 밝혔다. 이지은 기자 jieun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