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15공동선언 실천을 위한 남북해외 공동행사준비위원회’ 제1차 회의에서 강승규 민주노총 부위원장, 김명철 북쪽 위원, 장진민 해외부위원장(왼쪽부터 차례로)이 5일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 및 역사 왜곡에 대한 특별 결의문을 발표하고 있다. 금강산/사진공동취재단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과 역사 왜곡에 대해, 남한과 북한, 그리고 해외의 민간단체가 한 목소리로 규탄하며 공동 대응에 나섰다. ‘6·15 공동선언 실천을 위한 남북해외 공동행사 준비위원회’는 5일 오전 금강산에서 제1차 회의를 열고 독도 문제 등에 대한 특별 결의문을 발표했다. 위원회는 4일 결성됐다. 결의문은 독도 문제와 관련해 △일본 정부는 남쪽 주재 일본대사 발언에 대해 남북 모두에게 공식 사과와 재발방지 약속을 할 것 △시마네현 의회의 ‘다케시마의 날’ 제정 조례안 상정을 철회할 것을 요구했다. 결의문은 일본 역사 교과서 문제를 두고도 “일본 정부는 역사교과서 검정 과정에서 문제가 될 범죄적 과거사 축소·왜곡을 조속히 시정하라”고 촉구하고, “일본의 군국주의적 팽창에 대해 남과 북은 동북아 평화를 위협하는 일본의 모든 시도를 저지하기 위해 공동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북한의 대남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는 5일 대변인 담화에서 “일본은 독도를 강탈하려는 날강도적인 책동을 당장 걷어치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평통 담화는 “최근 일본이 ‘다케시마의 날’ 제정이니 하면서 우리나라의 신성한 섬을 저들의 땅으로 만들기 위한 책동을 더욱 노골화하고 있다”며 “온 민족은 일본의 독도 강탈 책동을 단호히 짓부수고 그들로부터 과거 죄악에 대한 사죄와 보상을 받아내기 위한 투쟁을 더욱 과감히 벌여 나갈 것”이라고 주장했다.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기관지 <조선신보>는 5일 일제 식민지배에 대한 배상을 언급한 노무현 대통령의 3·1절 기념사에 대해 “현실을 놓고 볼 때 너무도 당연한 지적”이라고 보도했다. 권혁철 기자 nur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