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고건 회동 신호탄…주도권 다툼 가열 예상
정치권이 `전효숙 인준' 사태의 와중에 돌출한 정계개편 논의로 술렁이고 있다.
정계 빅뱅의 발화시점이 될 연말을 앞두고 정치권 제세력의 합종연횡 가능성을 예고하는 언급이 동시 다발적으로 터져나오면서 그간 숙성단계를 거쳐온 정계 지각변동 담론이 성큼 현실로 다가서고 있는 형국이다.
한나라당과 민주당 내에서 제기된 `한.민 공조론', 이에 맞선 열린우리당 김근태(金槿泰) 의장이 꺼내든 `12월초 정계개편론', 고 건(高建) 전 총리가 운을 뗀 `연말 구조조정 태동론'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흐름은 정계개편을 앞둔 고도의 수읽기와 탐색전의 성격을 띠고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열린우리당 김한길 원내대표가 24일 전격 공개한 고 전 총리의 회동과 대화내용은 여권 내에서 똬리를 틀어온 `범민주세력 통합론' `외부선장론'과 맞물려 앞으로 전개될 정계개편 논의의 방향과 성격을 추론해 볼 수 있는 가늠자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與 `범민주세력 통합론' 뜨나 = 새판짜기를 추동하려는 여당의 움직임이 부쩍 빨라지고 있다. "정기국회 때까지는 논의하지 않겠다"는게 당 지도부의 공언이었지만 오히려 지도부가 먼저 `금기'를 깬 느낌이다.
김근태 의장이 21일 "12월초가 되면 민주개혁대연합을 만들어야 한다"고 정계개편 시기를 12월초로 못박은데 이어, 김한길 원내대표는 24일 기자간담회 석상에서 고 전총리와의 회동 사실을 적극 공개하며 분위기를 한껏 띄우고 나선 것.
김 원내대표는 특히 여당이 추진하는 통합론에 원칙적으로 동의했다는 대화내용까지 소개했고, 한걸음 더 나아가 고 전 총리와 함께 여권의 영입 1순위로 꼽히는 정운찬(鄭雲燦) 전 서울대 총장과의 회동사실도 털어놨다. 현재 여당이 구상하는 새판짜기 시나리오는 `범민주세력(혹은 중도개혁세력) 대연합론'과 `외부선장론'을 양대축으로 하고 있다. 여당이 반(反) 한나라당의 기치를 내걸고 민주당을 비롯한 범민주세력을 한울타리로 묶어내되, 내부에 `주자'가 없다면 경쟁력있는 외부인물을 끌어들인다는 밑그림이다. 그런 맥락에서 김 원내대표와 고 전총리와의 회동은 여당의 정계개편 시도가 구체화되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신호탄의 의미가 커보인다. 특히 김 원내대표는 고 전총리에게 오픈프라이머리(개방형 국민경선제) 도입을 설명하면서 `모든 기득권을 포기한다'고 밝혀, 문호개방의 뜻을 분명히 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낮은 지지도와 유력 주자를 갖추지 못한 여당이 현실적으로 통합론을 주도적으로 추진하기는 어렵다는 점에서 의미를 폄하하는 분석도 나온다. 당 지도부의 이런 움직임은 오히려 외부의 정계개편 움직임에 사전 대응하고 내부를 단속하려는 `선제 공격' 쪽에 방점이 찍혀있다는 지적이다. 현재 정치권에서 거론되는 정계개편 시나리오는 ▲여당 탈당세력+민주당+고 전총리 등 외부 대선후보 ▲여당 친노직계+진보세력 연합 등 여권 분화를 일차적 진앙지로 보고 있고, 여당내에서 민주당과의 통합을 희구하는 세력들을 중심으로 11월께 모종의 움직임이 이뤄질 것이라는 관측이 무성한 탓이다. 고 전 총리가 여당 주도의 통합론에 긍정적 입장을 표명한 것도 추후 정계개편 논의과정에서 일정한 영향력을 유지하려는 전략적 제스처로 풀이하는 시각이 나온다. 고 전총리와 가까운 인사는 "김 원내대표와의 만남은 서로의 입장을 확인한 것일 뿐"이라며 "열린우리당에는 결코 들어갈 수 없다"고 말했다. ◇한, `한.민공조'로 맞불 = 한나라당에서 제기되고 있는 정계개편론의 핵심은 지역통합과 범보수연대다. 지역적 차원에서는 취약지인 호남, 충청세력으로 외연을 확대해 명실상부한 전국정당화를 지향하는 한편, 정체성 차원에서는 뉴라이트계열 등 다양한 스펙트럼의 보수진영을 끌어들여 보수대표당의 입지를 확보함으로써 대선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겠다는 것. 최근 당내에서 민주당과의 통합.연대론이 줄을 잇고 있는 것도 정계개편의 두 핵심인 지역과 정체성이 맞닿아 있는 접점이 바로 민주당이란 인식때문이다. 며칠 사이 강재섭(姜在涉) 대표, 김형오(金炯旿) 원내대표, 이명박(李明博) 전 서울시장, 김무성(金武星) 전 사무총장 등 당 중진들이 잇따라 직.간접 화법으로 민주당과의 연대론을 들고 나온 것도 이런 배경에서라는 것이다. 특히 당내 일각에서는 민주당과 손을 잡기 위해서라면 "대선후보를 제외한 모든 것을 다줘야 한다"는 주장까지 조심스럽게 고개를 들고 있는 상황이다. 한 소장 개혁파 의원은 "지역적 동서화합을 꾀하고 정체성이 같은 그룹이 재편하는 작업이 필요하다"며 "한나라당과 민주당간 합당이 될 수 있다면 가장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또 한.민 연대의 한 줄기로 동서화합을 명분으로 'DJ(김대중.金大中 전 대통령)'의 지원을 얻어내야 한다는 'DJ연대론'도 당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 ◇민주 "우리가 주도권 쥔다" = 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 사이에서 정계개편의 `캐스팅 보트'를 쥐고 이를 십분 활용하겠다는 의지를 불태우고 있다. 여당 내의 범여권 통합론, 한나라당 내의 한-민공조론 등 양당으로부터 러브콜이 집중되는 상황에서 단기적으로 `몸값 올리기'의 효과를 거두면서 정계개편을 주도하는 상황을 만들어보겠다는 것. 민주당은 이에 따라 통합론, 한-민공조론 등을 효과적으로 활용, 양당 내부의 변화를 촉구하면서 `헤쳐모여식 신당창당'을 무기로 정치권 판흔들기에 나설 가능성이 커 보인다. 민주당 핵심관계자는 "결국 여당내에서는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탈당 내지 반노(反盧)세력과 노 대통령의 결별이 이뤄져야 한다"며 "한-민공조론도 역설적으로 보면 한나라당이 주도하는 보수대연합 대세론을 견제하는 효과도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결국 중도개혁세력이 결집하는 신당창당이 대안이며 그 과정에서 민주당이 카드를 던지는 때가 올 것"이라고 말했다. 추승호 노효동 정윤섭 기자 chu@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 원내대표는 특히 여당이 추진하는 통합론에 원칙적으로 동의했다는 대화내용까지 소개했고, 한걸음 더 나아가 고 전 총리와 함께 여권의 영입 1순위로 꼽히는 정운찬(鄭雲燦) 전 서울대 총장과의 회동사실도 털어놨다. 현재 여당이 구상하는 새판짜기 시나리오는 `범민주세력(혹은 중도개혁세력) 대연합론'과 `외부선장론'을 양대축으로 하고 있다. 여당이 반(反) 한나라당의 기치를 내걸고 민주당을 비롯한 범민주세력을 한울타리로 묶어내되, 내부에 `주자'가 없다면 경쟁력있는 외부인물을 끌어들인다는 밑그림이다. 그런 맥락에서 김 원내대표와 고 전총리와의 회동은 여당의 정계개편 시도가 구체화되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신호탄의 의미가 커보인다. 특히 김 원내대표는 고 전총리에게 오픈프라이머리(개방형 국민경선제) 도입을 설명하면서 `모든 기득권을 포기한다'고 밝혀, 문호개방의 뜻을 분명히 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낮은 지지도와 유력 주자를 갖추지 못한 여당이 현실적으로 통합론을 주도적으로 추진하기는 어렵다는 점에서 의미를 폄하하는 분석도 나온다. 당 지도부의 이런 움직임은 오히려 외부의 정계개편 움직임에 사전 대응하고 내부를 단속하려는 `선제 공격' 쪽에 방점이 찍혀있다는 지적이다. 현재 정치권에서 거론되는 정계개편 시나리오는 ▲여당 탈당세력+민주당+고 전총리 등 외부 대선후보 ▲여당 친노직계+진보세력 연합 등 여권 분화를 일차적 진앙지로 보고 있고, 여당내에서 민주당과의 통합을 희구하는 세력들을 중심으로 11월께 모종의 움직임이 이뤄질 것이라는 관측이 무성한 탓이다. 고 전 총리가 여당 주도의 통합론에 긍정적 입장을 표명한 것도 추후 정계개편 논의과정에서 일정한 영향력을 유지하려는 전략적 제스처로 풀이하는 시각이 나온다. 고 전총리와 가까운 인사는 "김 원내대표와의 만남은 서로의 입장을 확인한 것일 뿐"이라며 "열린우리당에는 결코 들어갈 수 없다"고 말했다. ◇한, `한.민공조'로 맞불 = 한나라당에서 제기되고 있는 정계개편론의 핵심은 지역통합과 범보수연대다. 지역적 차원에서는 취약지인 호남, 충청세력으로 외연을 확대해 명실상부한 전국정당화를 지향하는 한편, 정체성 차원에서는 뉴라이트계열 등 다양한 스펙트럼의 보수진영을 끌어들여 보수대표당의 입지를 확보함으로써 대선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겠다는 것. 최근 당내에서 민주당과의 통합.연대론이 줄을 잇고 있는 것도 정계개편의 두 핵심인 지역과 정체성이 맞닿아 있는 접점이 바로 민주당이란 인식때문이다. 며칠 사이 강재섭(姜在涉) 대표, 김형오(金炯旿) 원내대표, 이명박(李明博) 전 서울시장, 김무성(金武星) 전 사무총장 등 당 중진들이 잇따라 직.간접 화법으로 민주당과의 연대론을 들고 나온 것도 이런 배경에서라는 것이다. 특히 당내 일각에서는 민주당과 손을 잡기 위해서라면 "대선후보를 제외한 모든 것을 다줘야 한다"는 주장까지 조심스럽게 고개를 들고 있는 상황이다. 한 소장 개혁파 의원은 "지역적 동서화합을 꾀하고 정체성이 같은 그룹이 재편하는 작업이 필요하다"며 "한나라당과 민주당간 합당이 될 수 있다면 가장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또 한.민 연대의 한 줄기로 동서화합을 명분으로 'DJ(김대중.金大中 전 대통령)'의 지원을 얻어내야 한다는 'DJ연대론'도 당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 ◇민주 "우리가 주도권 쥔다" = 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 사이에서 정계개편의 `캐스팅 보트'를 쥐고 이를 십분 활용하겠다는 의지를 불태우고 있다. 여당 내의 범여권 통합론, 한나라당 내의 한-민공조론 등 양당으로부터 러브콜이 집중되는 상황에서 단기적으로 `몸값 올리기'의 효과를 거두면서 정계개편을 주도하는 상황을 만들어보겠다는 것. 민주당은 이에 따라 통합론, 한-민공조론 등을 효과적으로 활용, 양당 내부의 변화를 촉구하면서 `헤쳐모여식 신당창당'을 무기로 정치권 판흔들기에 나설 가능성이 커 보인다. 민주당 핵심관계자는 "결국 여당내에서는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탈당 내지 반노(反盧)세력과 노 대통령의 결별이 이뤄져야 한다"며 "한-민공조론도 역설적으로 보면 한나라당이 주도하는 보수대연합 대세론을 견제하는 효과도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결국 중도개혁세력이 결집하는 신당창당이 대안이며 그 과정에서 민주당이 카드를 던지는 때가 올 것"이라고 말했다. 추승호 노효동 정윤섭 기자 chu@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