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대통령과 전직 대통령들 북핵논의 노무현 대통령이 10일 낮 청와대에서 김대중, 김영삼,전두환 전직 대통령들과 북한 핵실험 사태에 대한 대응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함께 오찬장으로 들어서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노대통령, 전직 대통령 초청 오찬
김대중 “주변4강과 협의”
김영삼 “대북사업 중단”
전두환 “한-미동맹 강화”
김대중 “주변4강과 협의”
김영삼 “대북사업 중단”
전두환 “한-미동맹 강화”
노무현 대통령은 10일 북한 핵실험 사태와 관련해 김대중, 김영삼, 전두환 전 대통령을 청와대로 초청해 오찬을 함께 하며 의견을 들었다.
이날 오찬에서 햇볕정책의 공과를 놓고 김영삼 전 대통령과 김대중 전 대통령 사이에 사실상의 ‘설전’이 벌어졌다. 특히 김영삼 전 대통령은 김대중 전 대통령과 노 대통령을 앞에 두고 두 사람의 대국민 사과를 요구하는 등 대북 포용정책을 거세게 비난해, 분위기가 냉랭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전직 대통령의 청와대 방문은 2004년 1월 신년인사 초청모임 이후 처음이다. 노태우·최규하 전 대통령은 건강상 이유로 참석하지 못했다.
간담회 뒤 김영삼 전 대통령이 상도동 자택에서 기자들에게 한 설명과 김대중 전 대통령 쪽의 발표문을 종합해 보면, 이날 낮 12시 4명의 전·현직 대통령은 백악실로 함께 들어섰다고 한다. 노 대통령을 가운데 두고, 김대중 전 대통령과 김영삼 전 대통령이 각각 오른쪽과 왼쪽에 앉았다. 전두환 전 대통령이 노 대통령에게 “초대해줘 고맙다”는 등 인사말을 나누는 동안 김영삼 전 대통령은 원탁 테이블을 쓰다듬으며 “이 방에서 5년 동안 여러 사람들과 만나…”라고 혼잣말을 하며 회상에 잠기기도 했다.
간담회가 시작되자, 김영삼 전 대통령은 특유의 거침없는 표현을 쏟아냈다. 그는 “나라가 이 지경이 돼 국민이 불쌍해서 잠을 못 잤다”며, 햇볕정책의 공식 폐기 선언, 금강산·개성공단 사업 즉각 중단 등을 촉구했다. 그의 발언은 “대통령이 물러나야 할 엄청난 사안”, “김대중 전 대통령과 노 대통령이 공개 사죄해야”, “두 정권이 8년 7개월 동안 4조5800억원의 돈을 퍼줘 북한이 핵을 만든 것”, “북한을 감싸기만 한 노 대통령은 북한의 변호사냐”, “전쟁을 각오해야 전쟁을 막을 수 있다”는 등으로 강도가 점점 올라갔다. 김영삼 전 대통령은 1시간20분의 간담회를 사실상 주도하다시피 한 것으로 보인다.
김영삼 전 대통령이 면전에서 직격탄을 날리는 동안, 김대중 전 대통령은 이렇다 할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발언 기회를 얻자 “햇볕정책을 통해 남북관계는 발전해 왔고, 성과도 있었다. 이후 북-미 관계가 안 돼 진전을 못한 것”이라고 맞받았다. 그는 “북한 핵실험은 절대 용납할 수 없고, 반드시 해체시켜야 한다”면서도, 북-미 직접대화를 통해 해결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강조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은 “예상할 수 있는 대북제재 방법으로 첫째는 전쟁인데, 미국이 그럴 여유도 없지만, 우리 민족으로선 절대 안 될 일이다. 둘째는 경제제재인데, 북한에 고통을 주겠지만 휴전선이나 북방한계선(NLL)에서 도발을 할 수 있고, 그렇게 되면 우리 경제가 크게 위축될 수 있다. 셋째는 북-미 대화다. 유엔과 미·중·일·러 4대국과 협의해 조율해야 한다. 우리가 제재에 앞장설 필요가 없다”는 뜻을 밝혔다.
전두환 전 대통령은 김영삼 전 대통령과 입장이 비슷했으나 노 대통령을 비판하지 않고 “대통령이 걱정이 많으시겠다”며 위로하는 등 다른 모습을 보였다고 한다. 그는 “비대칭 전력의 불균형에 대해 어떻게 대응하느냐가 중요하다”, “전시 작전통제권 환수 문제도 상황이 악화된 이상 상당 기간 유보해야 한다”며 군 출신답게 군사적 시각에서 북핵 문제를 바라봤다.
노무현 대통령은 별다른 이견 제시 없이 “한-미 동맹을 기조로 국민 불안과 동요가 없도록 신중히 관리하겠다. 남북관계에 대해서도 의견을 청취해 대처하겠다”고만 답변했다.
권태호 신승근 기자 h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