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경북 구미의 박정희 전 대통령 생가를 방문한 이명박 전 서울시장이 박 전 대통령의 사진을 관람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북포용정책 재검토해야’ 54.3%, ‘전쟁 없을 것’ 75.8%
이명박(李明博) 전 서울시장이 대선후보 선호도 여론조사에서 2위 그룹과 격차를 더욱 벌이면서 선두를 달리고 있고, 고 건(高 建) 전 총리는 큰 폭으로 하락한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가 지난 10일 성인남녀 7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이 전 시장은 31.7%의 지지를 얻어 19.4%를 얻은 박근혜(朴槿惠) 전 대표를 10% 포인트 이상 따돌리고 1위를 달렸다. 고 전 총리 지지율은 12.9%에 그쳤다.(표본오차 ± 3.7%)
이는 지난 9월12일 이 연구소가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와 비교해 볼 때 이 전 시장은 5.6% 포인트, 박 전 대표는 1.8% 포인트 상승한 반면, 고 전 총리는 6.1% 포인트 하락한 것이다.
이밖에 강금실(康錦實) 전 법무장관이 4.2%, 정동영(鄭東泳) 전 열린우리당 의장이 3.4%를 기록했으며 `100일 민심대장정'을 마친 손학규(孫鶴圭) 전 경기지사가 2.9%의 지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소측은 12일 발간된 자체 보고서 `동향과 분석'에서 "추석 연휴를 전후해 집중적으로 실시됐던 대부분의 언론사 여론조사 결과 이 전 시장의 지지도가 높게 나타나고 이것이 다시 여론에 반영되면서 강세를 굳혀 나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고 전 총리의 경우 지역별로 서울과 호남지역에서 각각 16.6% 포인트, 6.1% 포인트가 빠져 나가면서 하락세를 주도한 것으로 조사됐다.
앞서 추석 연휴 직전인 지난달 28-30일 조선일보와 한국갤럽이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이 전 시장은 25.1%, 박 전 대표 20.5%, 고 전 총리가 18.9% 였으며, 동아일보와 코리아리서치센터(KRC)가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도 이 전 시장이 24%, 박 전 대표 22%, 고 전 총리 21.2% 순이었고, 중앙일보 자체 조사에서는 이 전 시장과 박 전 대표가 나란히 27%로 공동 1위를, 고 전 총리가 21%를 기록했다.
한편 KSOI 조사에서 북핵 실험 이후 현 정부의 대북포용정책을 `근본적으로 재검토해야 한다'는 의견이 54.3%로 나타났으며 `방향은 유지하되 일부 수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은 35.9%, `현 방향을 유지해야 한다'가 7.8%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 7월 같은 내용의 조사에서 `재검토' 여론이 29.8%였던 것에 비하면 대폭 상승한 것이다.
그러나 북핵 실험에도 불구 `한반도에서 5년 내에 전쟁이 일어날 가능성'에 대해서는 `있다'는 응답은 18%, `없다'는 응답이 75.8%로 국민들의 대다수가 전쟁불안감을 별반 느끼지 않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쟁불안감은 지난해 5월 조사 때 21%, 금년 8월 조사 때 17.5%와 비교해 거의 변화가 없었다.
또 북핵 실험 이후 가장 불안감을 느끼는 분야를 묻는 질문에서는 `해외자본 이탈, 물가 인상 등 경제적 위기'가 36.7%로 가장 높았고, `미국의 북한 폭격'은 19.2%, 남한에 대한 북한의 핵 공격 가능성은 15.7%, 일본 등 주변국가의 핵무장 경쟁은 14.9%, 북핵문제를 둘러싼 남한 내 갈등고조가 11.8%로 나타났다. 김현재 기자 kn0209@yna.co.kr (서울=연합뉴스)
또 북핵 실험 이후 가장 불안감을 느끼는 분야를 묻는 질문에서는 `해외자본 이탈, 물가 인상 등 경제적 위기'가 36.7%로 가장 높았고, `미국의 북한 폭격'은 19.2%, 남한에 대한 북한의 핵 공격 가능성은 15.7%, 일본 등 주변국가의 핵무장 경쟁은 14.9%, 북핵문제를 둘러싼 남한 내 갈등고조가 11.8%로 나타났다. 김현재 기자 kn0209@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