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대화 상지대 교수
진보·개혁 인사들의 조직인 ‘미래구상’을 주도하고 있는 정대화 상지대 교수는 4일, 자신들의 움직임을 ‘제대로 된 정권을 창출하기 위한 국민의 정치 참여 운동’이라고 규정했다. 이번 대통령 선거에서 양극화 해소, 복지사회, 한반도 평화를 제대로 실현시킬 수 있는 정부를 세우자는 것이다.
정 교수는 이를 위해 ‘선 정책, 후 후보론’을 내놓았다. 후보가 아닌, 정책을 먼저 설정하고 그를 제대로 수행할 수 있는 사람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2002년에 노무현 대통령이 당선될 때에는 후보가 먼저였고, 정책이 없었다”며 “그 결과 대연정이나 비정규직 문제, 양극화로 이어졌다”고 말했다.
정 교수는 “정치권 안에는 그런 정책을 제대로 추진할 수 있는 후보가 없는 것 같다”며 “시민사회에서 준비된 유능한 인물이 지도자로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런 조건에 부합하고 소통할 수 있는 후보가 많다”고도 했다. 정 교수는 “민주화운동이 지금은 말라 비틀어진 오징어처럼 웃기게 취급되고 있다”며, 참여정부가 겪고 있는 민심이반이 민주화운동 세력 전체에 대한 비난으로 이어지고 있는 현실을 개탄했다. 노무현 대통령의 ‘대연정 제안’ 때부터 ‘미래구상’ 모임을 구상했다는 정 교수는, 지금의 위기를 노무현 대통령과 ‘한나라당-조중동’으로 대표되는 수구·보수 세력 간의 소모적 갈등에 원인이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갈등이 계속될수록 참여정부는 제대로 움직이지 못했고, 열린우리당은 원내 과반 의석을 가지고도 아무 일도 하지 못하는 무능을 보였으며, 이 사이에 한나라당의 지지율은 올라갔다”고 말했다.
정 교수는 진보·개혁 세력의 냉소주의와 패배주의를 일소하는 게 우선 과제라고 밝혔다. 그는 “아직까지 민주주의와 평화, 개혁을 수행할 수 있는 제대로 된 정부를 바라는 국민들의 비율이 높지만, ‘어떻게 해도 안된다’는 패배주의와 냉소주의가 문제”라며 “분산돼 있는 민주적 자원들의 열망을 정치운동의 방식으로 묶어내면 무슨 일이든 할 수 있다”고 말했다.김태규 기자 dokbul@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