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광수 전 검찰총장
송광수 전 검찰총장 “10분의 1아니라 2,3 찾아”
송광수(57·사진) 전 검찰총장이 지난 2004년 불법 대선자금 수사 때 노무현 대통령에게 불리한 수사 결과가 나오자, 대통령 측근들이 대검찰청 중앙수사부 폐지를 거론했다고 주장했다.
송 전 총장은 지난 19일 숭실대 사회복지학과가 마련한 강연에서 이렇게 말했다. “언론이 (대선자금) 수사 중에 대통령이 ‘내가 한나라당 쓴 것의 10분의 1보다 더 썼으면 그만두겠다’고 말한 것을 주목했다. 그러면서 ‘검찰이 10분의 1을 안 넘기려고 대통령 측근 수사는 안하고 야당만 수사한다’고 했다. 그러나 검찰은 10분의 2, 3을 찾았다. 그러자 대통령 측근들은 ‘검찰이 하늘 무서운 줄 모른다’며 ‘손을 봐야 한다’고 했다.”
송 전 총장은 이어 “측근들은 공명심에 ‘무리한 수사를 한다’며 중수부를 폐지하자고 얘기했고, 법무부도 폐지를 검토했다”고 말했다. 당시 법무부 장관은 강금실(50) 변호사였다. 송 전 총장은 “당시 검사 전입신고 때 훈시를 하며 ‘왜 이 시점에서 중수부 폐지 이야기가 나오나, 불법 선거자금을 받은 세력이 불리함을 만회하려고 그러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이름을 밝히지 말아 달라는 청와대 민정수석실 관계자는 “중수부 폐지는 검찰 개혁 차원에서 이미 김대중 정부 때 강력하게 추진하다 잘 안된 것”이라며 “참여정부 들어와 검찰 개혁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다시 불거졌는데, 우연히 대선자금 수사와 시기가 맞물렸다”고 밝혔다.
송 전 총장은 20일 <한겨레>와의 전화 통화에서 “중수부 폐지론은 그 이전부터 나왔지만, 대선자금 수사 결과가 나온 뒤 다시 거론되자 검찰에서는 두 사안을 연결시켜 해석했을 수밖에 없지 않겠느냐”며 “중수부 폐지론을 둘러싼 (청와대와 검찰의) 갈등은 당시 다 보도됐는데, 왜 지금 다시 기삿거리가 되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고나무 신승근 기자 dokk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