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임직원·가족 통한 기부등
5월말까지…“필요땐 연장” 중앙선거관리위원회(위원장 유지담)는 25일 국회의원 정치후원금 가운데 제공자의 신원이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거나, 기업이 임직원 또는 임직원 가족 등을 통해 편법 기부한 의혹이 있는 후원금에 대한 본격적인 조사에 들어갔다. 선관위는 이날 “각 정당의 회계보고 내역과 중앙당 및 시·도당 후원회, 국회의원 후원회 등이 보고한 2004년도 재산 상황 및 정치자금의 수입·지출 내역 등에 대한 현지조사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이번 현지조사는 지난 22일의 후원회 수입·지출 내역 공고에 따른 후속조처로, 오는 5월 말까지 계속될 예정이다. 선관위는 필요할 경우 조사기간을 연장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 중이다. 선관위 관계자는 “조사는 수입·지출 명세서의 서류 심사를 통해 위법 소지가 있거나 확인이 필요한 사항을 파악한 뒤, 거래 업체나 수입 제공자 등에 대한 현지조사를 하게 된다”며 “조사 기간 동안 전국 선관위 직원 2300여명의 거의 대부분인 2000여명이 조사에 투입될 것”이라고 말했다. 선관위는 특히 이번 조사에서 최근 의혹이 불거지고 있는 △기업자금의 정치후원금 유입 △후원금 가·차명 기부 △음성적 정치자금 수수 △이중장부 작성 등을 통한 편법적 회계처리 △당비 강제 갹출 등을 집중 조사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2일 공개된 후원회 수입·지출 내역을 보면, 상당수 의원들이 120만∼500만원을 낸 고액기부에 대해서도 기부자의 이름만 기재하고 있다. 또 직업을 표시한 경우에도 주부나 회사원 등 두루뭉실하게 쓴 사례가 많아, 기부내역 공개의 취지에 어긋난다는 비판이 제기됐다.류이근 기자 ryuyigeun@hani.co.kr
5월말까지…“필요땐 연장” 중앙선거관리위원회(위원장 유지담)는 25일 국회의원 정치후원금 가운데 제공자의 신원이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거나, 기업이 임직원 또는 임직원 가족 등을 통해 편법 기부한 의혹이 있는 후원금에 대한 본격적인 조사에 들어갔다. 선관위는 이날 “각 정당의 회계보고 내역과 중앙당 및 시·도당 후원회, 국회의원 후원회 등이 보고한 2004년도 재산 상황 및 정치자금의 수입·지출 내역 등에 대한 현지조사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이번 현지조사는 지난 22일의 후원회 수입·지출 내역 공고에 따른 후속조처로, 오는 5월 말까지 계속될 예정이다. 선관위는 필요할 경우 조사기간을 연장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 중이다. 선관위 관계자는 “조사는 수입·지출 명세서의 서류 심사를 통해 위법 소지가 있거나 확인이 필요한 사항을 파악한 뒤, 거래 업체나 수입 제공자 등에 대한 현지조사를 하게 된다”며 “조사 기간 동안 전국 선관위 직원 2300여명의 거의 대부분인 2000여명이 조사에 투입될 것”이라고 말했다. 선관위는 특히 이번 조사에서 최근 의혹이 불거지고 있는 △기업자금의 정치후원금 유입 △후원금 가·차명 기부 △음성적 정치자금 수수 △이중장부 작성 등을 통한 편법적 회계처리 △당비 강제 갹출 등을 집중 조사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2일 공개된 후원회 수입·지출 내역을 보면, 상당수 의원들이 120만∼500만원을 낸 고액기부에 대해서도 기부자의 이름만 기재하고 있다. 또 직업을 표시한 경우에도 주부나 회사원 등 두루뭉실하게 쓴 사례가 많아, 기부내역 공개의 취지에 어긋난다는 비판이 제기됐다.류이근 기자 ryuyigeu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