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계동 의원 주장…청와대 “2~3명 모여 스크린하는 수준”
국가정보원이 설치·운영했다는 태스크포스(TF)의 실체는 무엇이며, 몇 개나 가동되었던 것일까?
박계동 한나라당 의원은 “국정원 태스크포스가 2004년 초 구성된 뒤 2006년 확대 개편돼 모두 2개 과 8개 팀이 운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 팀의 목적이 “야당 후보 전반의 비리와 약점 캐기를 위한 것”이라며 정치사찰 가능성을 제기했다. 김만복 국정원장은 이날 한나라당 의원들에게 “국내부서국 현안지원과에 부패척결 태스크포스가 있다. 복수의 팀(태스크포스)이 있다”고 말했다.
김 원장의 확인으로 태스크포스가 여럿 있는 것은 분명해졌지만, 구체적 실체는 여전히 베일에 싸여 있다.
청와대와 국정원 쪽은 이 태스크포스의 목적이 야당 후보 전반의 비리와 약점을 캐려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익명을 요청한 청와대 핵심 인사는 이 태스크포스들이 “비리와 관련된 첩보가 입수되면 2~3명이 모여서 그 부분을 스크린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명박 후보 관련 첩보도 이런 활동의 하나로 들여다보게 됐다는 해명이다. 그는 “경제와 통상, 사회 안정을 해치는 사안에 대해 첩보를 수집하고 대응할 필요 때문”에 팀을 만들게 된 것이라고 덧붙였다.
실제 운영방식은 이런 설명과 비슷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름을 밝히지 말아 달라는 국정원 인사는 “이 팀들의 경우 그때그때 사안에 따라 관련 직원을 차출해서 구성했고, 특정한 ‘사람’이 아니라 ‘사안’을 탐문하고 조사하는 방식으로 활동했다”며 “해당 사안들이 마무리되거나 한 1년쯤 활동하고 나면 원래 소속 팀으로 복귀했다”고 전했다. 그는 “특정 야당 인사를 표적 삼아 조사하지는 않았지만, 첩보를 모으다 보면 아무래도 정권과 거리가 먼 야당 쪽 인사, 고위 공무원과 관련된 것들이 많이 접수되기 마련”이라고 말했다. 강희철 기자 hcka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