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미래창조대통합민주신당’ 창당준비위원회 결성식에는 범여권의 유력 대선주자들이 대부분 참석했다. 손학규 전 경기지사, 정동영 전 열린우리당 의장, 한명숙 전 총리, 천정배·김혁규 의원, 김두관 전 행정자치부 장관이 한 자리에 모였다. 지방 일정으로 불참한 이해찬 전 총리는 축하 메시지를 보냈다.
일반적으로 행사 초반에 대선주자들의 축사가 진행되는 것과 달리, 이날 창당준비위 쪽은 대선주자들이 결성식의 ‘대미’를 장식하도록 했다. 주자들이 경쟁할 수 있는 본격적인 ‘판’을 만들어 주겠다는 의도에서다. 주자들의 ‘강조점’은 조금씩 달랐다.
‘친노’로 분류되는 이해찬 전 총리와 김혁규 의원은 ‘참여정부 계승론’을 강조했다. 이 전 총리는 축하 메시지에서 “대통합의 유일한 원칙은 국민의 정부와 참여정부를 계승하는 사람들이 조건 없이 하나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 제기되는 열린우리당과의 ‘당 대 당 통합 불가론’을 겨냥한 말로 보인다. 김두관 전 장관은 “정권재창출에 실패하면 친노와 비노, 반노는 아무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천정배 의원은 “열린우리당이 무엇을 잘못했느냐고 말하거나, 당 대 당 통합을 주장해서는 성공할 수 없다. 열린우리당이 국민을 실망시킨 것을 반성해야 새롭게 출발할 수 있다”고 반박했다. 정동영 전 의장은 “이 자리에 박상천 통합민주당 대표가 함께 했으면 명실상부한 대통합이 이뤄졌을 텐데 마음에 걸린다”며 아쉬움을 나타내기도 했다.
다른 주자들은 대체로 원론적인 측면에서 대통합을 강조했다. 손학규 전 지사는 “오늘의 이 출발은 국민대통합의 첫 단추”라고 말했다. 한명숙 전 총리는 “국민에게 감동을 주지 못하면 안된다. 자기가 가진 것을 비워야 대통합을 이룰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결성식에는 1천여명이 몰려 범여권 통합신당에 대한 기대와 관심을 나타냈다. 시민사회 진영에선 정치권에 비해 참석자 수가 적었지만, 창당준비위는 경과 보고나 임시의장 선출, 인삿말 등에서 시민사회 쪽 인사들을 먼저 나서도록 배려했다.
이지은 기자 jieuny@hani.co.kr
이지은 기자 jieun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