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장·차관 47명 포상…박기영 포함돼 ‘뒷말’
노무현 대통령이 임기 종료를 두달여 앞둔 26일 김승규 전 국정원장, 김성호 전 법무장관 등 참여정부에서 장·차관을 역임한 인사 47명에게 훈장을 수여했다.
천호선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과거부터 정부가 끝날 때 정무직에 몸답았던 장·차관급 공직자들에게 훈장을 주는 관례에 따라 오늘 국무회의에서 참여정부에서 1년 이상 정무직 장·차관을 지낸 인사들 가운데 비리로 물러나거나 이미 훈장을 받은 사람을 제외한 47명에게 훈장을 주기로 했다”고 말했다. 천 대변인은 “국민의 정부까지는 6개월 이상 근무한 정무직 장차관을 훈장 수여 대상으로 정했으나 참여정부는 1년 이상 근무자로 기준을 높였고, 신정아 사건에 연루된 변양균 전 정책실장처럼 비리 등으로 물러난 인사도 제외됐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김승규 전 국정원장, 김성호 전 법무장관을 비롯해 이병완 전 대통령 비서실장, 정문수 전 경제보좌관, 박기영 과학기술보좌관, 이정호 전 시민사회수석비서관 등 4명의 전직 청와대 인사들도 훈장을 받게됐다.
그러나 황우석 전 서울대교수의 줄기세포 조작 사태의 책임을 지고 물러난 박기영 전 과학기술보좌관과 부동산 정책 실패에 대한 책임으로 물러난 정문수 전 경제보좌관에 대한 훈장수여는 지나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천호선 대변인은 이에 대해 “박기영 전 보좌관은 황우석 교수 사태 처리를 적절히 하지 못했다는 평가도 있지만 검찰 수사에서 뚜렷한 혐의가 나오지 않은데다 다른 업무 공적을 평가할만하다고 판단해 서훈 대상에 포함됐고, 다른 분들도 관례에 따라 훈장을 받을 만한 공적이 있다고 판단했다”고 해명했다.
신승근 기자 sksh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