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위 법무행정분과 간사 임명된 정동기 전 대검차장
검찰 수사때 보고라인에 있어
‘퇴임 한달만에 취임’도 부적절
‘퇴임 한달만에 취임’도 부적절
인수위 법무행정분과 간사 임명된 정동기 전 대검차장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 정동기 (사진)전 대검 차장검사가 법무행정 분과 간사로 임명된 것을 두고 뒷말이 나오고 있다. 정 간사가 대선 직전까지 현직에 있으면서, 이명박 대통령 당선자와 관련된 주요 수사 내용을 상세히 보고받은 검찰 최고 수뇌부였기 때문이다.
정 간사는 올해 3월 대검 차장으로 부임해 정상명 검찰총장과 함께 11월23일 퇴임했다. 이 기간은 서울 도곡동 땅 차명의혹 등 이 당선자의 각종 의혹에 대해 검찰이 적극적으로 수사를 벌인 시기였다. 그 결과 검찰은 한나라당 경선을 앞둔 8월13일, 이 당선자의 것으로 의심받던 도곡동 땅에 대해 “이 후보의 형 이상은씨 것이 아니라 제3자의 것으로 보인다”는 수사 결과를 내놓았다. 대검 차장은 일선 검찰청의 중요 수사 내용을 상세히 보고받는 자리다. 당시 대검 차장이었던 정 간사도 도곡동 땅 수사 내용을 속속들이 보고 받았을 가능성이 크다.
이에 따라 정 간사의 인수위 ‘기용’이 ‘특검 수사에 대비하기 위해 그를 ‘영입’한 것 아니냐’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특검 수사가 시작되면, 이 당선자의 차명 의혹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는 도곡동 땅과 ㈜다스 관련 조사가 강도높게 이뤄질 것이기 때문이다.
또 참여정부 요직에 있던 정 간사가 불과 퇴임 한달만에 차기 정부 인수위의 법무행정 간사라는 핵심 포스트로 옮겨왔다는 점에서, 검찰 재직 당시의 이른바 ‘줄서기’ 논란도 불러일으킬 것으로 보인다.
이 당선자 쪽은 정 간사의 인수위 기용에 별 다른 정치적 의도는 없다고 강조했다. 박형준 인수위원은 “김상희 전 법무 차관이 간사로 거론됐으나 여러 논란 때문에 불발되고, 검찰 안에서 신망이 높은 정 전 차장이 임명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검찰 내부에서는 사실상 ‘현직’이라 할 수 있는 직전 검찰 수뇌부가 인수위원으로 기용된 점에 ‘부적절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그러나 조직의 안정을 위해 좋은 일이라며 반기는 분위기도 있다.
서울중앙지검의 한 부장검사는 “이 당선자 관련 수사 내용을 다 보고받은 전직 대검 차장이었다는 점에서 ‘오해’가 있을 수 있다”면서도 “이명박 정권은 검찰을 크게 흔들지 않고 안정 쪽으로 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김태규 고제규 기자 dokbul@hani.co.kr
서울중앙지검의 한 부장검사는 “이 당선자 관련 수사 내용을 다 보고받은 전직 대검 차장이었다는 점에서 ‘오해’가 있을 수 있다”면서도 “이명박 정권은 검찰을 크게 흔들지 않고 안정 쪽으로 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김태규 고제규 기자 dokbul@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