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기·정병두·김유환 등 논란
지난달 31일 구성을 마친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의 일부 위원들을 두고 ‘보은용 인사 아니냐’는 뒷말이 나오고 있다.
법무행정분과 간사인 정동기 전 대검 차장은 대선 직전인 지난해 11월까지 검찰 수뇌부에 있으면서 이 당선인과 관련한 각종 의혹 사건 수사보고를 받았던 인물이다. 지난해 8월 검찰은 이 당선인의 것으로 의심받던 도곡동 땅에 대해 “이 후보의 형 이상은씨 것이 아니라 제3자의 것으로 보인다”는 수사 결과를 내놓았다. 이 때문에 정 간사의 인수위 합류가 ‘이명박 특검’ 대비용 아니냐는 추측이 나왔다. 같은 분과위 전문위원인 정병두 대검 범죄기획관은 서울중앙지검 형사 1부장으로 있던 2006년 이 당선인의 이른바 ‘황제 테니스’ 사건의 주임검사를 맡아 그에게 무혐의 처분을 내렸다.
정무분과 전문위원으로 파견된 국정원의 김유환 경기지부장은 박 전 대표 쪽에서 한나라당 경선 당시 최태민 목사 관련 옛 안기부 자료 등을 이 당선인 쪽에 넘겨줬다고 강한 의심을 품고 있는 인물이다. 31일 인수위 경제1분과위 자문위원으로 이름을 올린 윤증현 전 금감원장은 지난해 6월 국회 정무위에 나와 “현재까지 서류상 드러난 바로는 이 전 시장의 주가 조작 혐의는 없다”고 말한 적이 있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의 한 의원은 “능력 위주라기보다는 다분히 과거 일에 대한 보답용이란 인상을 지울 수 없다”고 말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