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로 분류된 김만복 국가정보원장과 김양건 북한 노동당 통일전선부장 사이 평양 대화록이 일부 언론에 보도된 것과 관련해,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는 11일 “국정원 자체 유출에 대한 의구심이 갈수록 증폭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또 “만약 국정원 쪽에서 유출된 것이 사실이라면 이는 도덕적 해이를 넘어서 국가기관의 중요한 범법행위로 그냥 넘어갈 수 없는 중대사안”이라며 엄중문책 방침을 표명했다.
이동관 인수위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인수위 자체조사 결과 해당 문건을 접한 (인수위 쪽) 사람은 3명이었고, 이 가운데 2명은 국정원 파견 직원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인수위) 자체 유출 가능성은 적다”며 이렇게 밝혔다.
이 대변인은 “언론에 보도된 문건은 인수위에 제출된 문건과 동일한 것으로 확인됐다”며 “그러나 이번에 제출된 문건에는 통상 국정원 자료에 붙어있는 ‘대외비’ ‘1급비밀’ 등의 표시가 없었고, 비문이 아닌 평문으로 정리돼 있다는 점이 의아스러운 부분”이라고 말했다. 그는 “김형오 인수위 부위원장이 이미 국정원 쪽에 보안감사를 공식 요청했고, 국정원도 신속·정확하게 조사하겠다는 입장을 전해왔다”며 “제3의 기관에서 유출됐을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 “내집 앞 눈을 먼저 쓸겠다는 심정으로 내부적으로도 조사를 계속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손원제 기자 won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