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총 찾은 이 당선자 “비지니스 프렌들리, 노사 다 포함”
한국노총, 정책협의회 제안에 “계속 대화하자” 원론 답변만
한국노총, 정책협의회 제안에 “계속 대화하자” 원론 답변만
‘친기업적 행보’로 일관해 온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이 23일 한국노총 방문을 시작으로 뒤늦은 노동계 달래기에 나섰다. 그는 이날 ‘노동자 없는 기업은 없다’며 노동계에 우호적 태도를 내비쳤다. 하지만 정작 공공부문 민영화나 비정규직 문제 등 노동계의 핵심 현안을 두서서는 즉답을 피했다. 이로써 앞으로 새 정부와 한국노총 사이에 진행될 정책협의 수준도 불투명할 것으로 보인다.
이 당선인은 이날 오후 서울 여의도 한국노총 회관에서 한국노총 고위간부 40여명과 1시간 가량 간담회를 연 자리에서 “‘비즈니스 프렌들리’(친기업적)라는 것은 노사가 다 포함돼 있는 것인데, 오해가 있었던 것 같다”며 “(정책연대를 맺은) 한국노총과는 선거운동을 함께한 조직이어서, 기업을 먼저 찾아간 것이니 이해해 달라”고 말했다. 이 당선인은 지난해 대통령 당선 직후 전국경제인연합회 등 경제단체를 잇달아 찾았지만, 노동계를 만나는 일은 뒤로 미뤄왔다.
이어 이 당선인은 “기업도 투명한 경영을 통해 국민과 노동자들로부터 신뢰를 받아야 하고, 노동자들은 지금보다 10~20% 생산성을 높여야 한다”며 경제 살리기를 위한 노동계의 협조를 당부했다.
이용득 한국노총 위원장은 “노사간 균형을 맞추는 정책을 펴길 기대한다”며 △비정규직 차별해소 대책 △사회적 대화기구 확대 △공기업 민영화 자제 등을 요청했다. 이에 이 당선인은 “(공공부문 민영화 등에 대해) 걱정이 많은 것 같은데, 일방적으로 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한국노총은 청와대 담당 수석과 한나라당 정책위의장, 관계부처 장관 등이 참여하는 고위 정책협의회를 분기별로 열자고 요구했으나, 이 당선인은 “앞으로 계속 대화해 나가자”는 답변만을 내놨다. 또 이 당선인은 “정부가 끌고 나가는 게 아니라 (노사) 당사자가 대화를 잘하는 게 제일 좋다”며 노동문제에 대한 정부의 구실을 줄이겠다는 뜻을 내비치기도 했다.
이 당선인은 오는 29일엔 이석행 민주노총 위원장을 만날 예정이다. 민주노총은 새 정부에 더 비판적이어서, 이날 간담회에선 날카로운 신경전이 예상된다.
황보연 유신재 기자 whyno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