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례대표 1~8번 등 10명 전략공천키로
강경 평등파, 신당 창당작업 공식나서
강경 평등파, 신당 창당작업 공식나서
비대위 친북 떼내기…‘북핵 자위론’도 강령위반 결정
민주노동당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대표 심상정)는 27일 북한 공작원과 접촉했던 ‘일심회’ 사건 관련자를 제명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당내 자주파(NL) 일부가 강한 불만을 제기하는 등 북한과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지를 놓고 내부 논란이 거세질 전망이다. 이런 가운데 당내 평등파(PD) 가운데 일부 강경파는 별도의 신당 창당을 공식화하고 나섰다. 손낙구 당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비대위는 지난 26일 워크숍에서 ‘친북 정당’ 이미지를 누적시키는 데 결정적 계기가 됐던 일심회 사건 관련자인 최기영 전 사무부총장과 이정훈 전 중앙위원을 제명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비대위는 지난 2006년 북 핵실험 사태 당시 이용대 정책위의장이 ‘북핵 자위론’ 발언을 한 것을 ‘전쟁과 핵을 반대하는 당 강령을 위배한 행위’로 규정했다. 또 ‘미군 철수 완료 시점에 북 핵무기 폐기’라는 권영길 후보의 대선 공약도 즉각 폐기하기로 했다. 손 대변인은 “편향적 친북 행위는 당헌·당규 위반 행위로 명확하게 규정돼야 한다”고 말했다. 비대위는 또 오는 4·9 총선에서 비례대표 가운데 1~8번, 19·20번 등 모두 10명을 전략 공천하기로 결정했다. 사실상 당선권에 드는 모든 후보를 당내 파벌의 이해관계를 넘어서 전략 공천하겠다는 방침이다. 일심회 관련자 제명을 포함한 비대위의 이런 결정 사항들은 새달 3일 임시 당대회에서 안건으로 상정돼 최종적인 추인 절차를 거쳐야 한다. 그러나 ‘종북주의’의 당사자로 지목된 자주파가 이에 반대하는데다, 한편에서는 평등파 내 강경파가 종북주의 완전 청산을 주장하며 신당 창당 움직임을 구체화하고 있어 당대회 때까지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자주파인 이용대 전 정책위의장은 <한겨레>와 한 전화통화에서 “비대위가 한쪽 의견을 가지고 전체 상황을 정리하려는 건 옳지 않다. 지나치다”며 “당대회에서 논쟁만 확산될 것”이라고 말했다. 역시 자주파인 김창현 전 사무총장은 “비대위 안 중 적극적으로 토론할 것은 하고, 수정할 것은 수정해야 한다”며 “특히 비대위는 분당을 주장하는 사람들에 대해 명확히 선을 그어야 할 것”이라고 요구했다. 앞서 강경 신당파는 26일 서울 용산구민회관에서 400명이 참석한 가운데 ‘새로운 진보정당 운동’ 출범식을 열고, 조승수 전 의원과 박승옥 ‘시민발전’ 대표, 김석준 부산시당 위원장, 최혜영 전 의정부여성회 대표를 공동대표로 선출했다. 이들은 새달 3일 당대회를 지켜보겠지만 사실상 신당 말고는 대안이 없다는 뜻을 밝혔다.
이에 대해 비대위의 핵심 관계자는 “양쪽에서 반발이 있더라도 정면돌파 말고는 길이 없다. 고통 없는 혁신은 없다”며 심상정 대표가 이번에 내놓은 혁신안을 밀어붙이겠다고 말했다.
이지은 기자 jieuny@hani.co.kr
민주노동당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대표 심상정)는 27일 북한 공작원과 접촉했던 ‘일심회’ 사건 관련자를 제명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당내 자주파(NL) 일부가 강한 불만을 제기하는 등 북한과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지를 놓고 내부 논란이 거세질 전망이다. 이런 가운데 당내 평등파(PD) 가운데 일부 강경파는 별도의 신당 창당을 공식화하고 나섰다. 손낙구 당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비대위는 지난 26일 워크숍에서 ‘친북 정당’ 이미지를 누적시키는 데 결정적 계기가 됐던 일심회 사건 관련자인 최기영 전 사무부총장과 이정훈 전 중앙위원을 제명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비대위는 지난 2006년 북 핵실험 사태 당시 이용대 정책위의장이 ‘북핵 자위론’ 발언을 한 것을 ‘전쟁과 핵을 반대하는 당 강령을 위배한 행위’로 규정했다. 또 ‘미군 철수 완료 시점에 북 핵무기 폐기’라는 권영길 후보의 대선 공약도 즉각 폐기하기로 했다. 손 대변인은 “편향적 친북 행위는 당헌·당규 위반 행위로 명확하게 규정돼야 한다”고 말했다. 비대위는 또 오는 4·9 총선에서 비례대표 가운데 1~8번, 19·20번 등 모두 10명을 전략 공천하기로 결정했다. 사실상 당선권에 드는 모든 후보를 당내 파벌의 이해관계를 넘어서 전략 공천하겠다는 방침이다. 일심회 관련자 제명을 포함한 비대위의 이런 결정 사항들은 새달 3일 임시 당대회에서 안건으로 상정돼 최종적인 추인 절차를 거쳐야 한다. 그러나 ‘종북주의’의 당사자로 지목된 자주파가 이에 반대하는데다, 한편에서는 평등파 내 강경파가 종북주의 완전 청산을 주장하며 신당 창당 움직임을 구체화하고 있어 당대회 때까지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자주파인 이용대 전 정책위의장은 <한겨레>와 한 전화통화에서 “비대위가 한쪽 의견을 가지고 전체 상황을 정리하려는 건 옳지 않다. 지나치다”며 “당대회에서 논쟁만 확산될 것”이라고 말했다. 역시 자주파인 김창현 전 사무총장은 “비대위 안 중 적극적으로 토론할 것은 하고, 수정할 것은 수정해야 한다”며 “특히 비대위는 분당을 주장하는 사람들에 대해 명확히 선을 그어야 할 것”이라고 요구했다. 앞서 강경 신당파는 26일 서울 용산구민회관에서 400명이 참석한 가운데 ‘새로운 진보정당 운동’ 출범식을 열고, 조승수 전 의원과 박승옥 ‘시민발전’ 대표, 김석준 부산시당 위원장, 최혜영 전 의정부여성회 대표를 공동대표로 선출했다. 이들은 새달 3일 당대회를 지켜보겠지만 사실상 신당 말고는 대안이 없다는 뜻을 밝혔다.
이에 대해 비대위의 핵심 관계자는 “양쪽에서 반발이 있더라도 정면돌파 말고는 길이 없다. 고통 없는 혁신은 없다”며 심상정 대표가 이번에 내놓은 혁신안을 밀어붙이겠다고 말했다.
| |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