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안정 필요”…참여정부 잇단 공격
청와대가 ‘공천 개입’ 논란에 이어 이번에는 ‘총선 개입’ 논란에 휘말리고 있다.
‘총선 개입’ 논란의 출발점은 이명박 대통령의 ‘발언’이다. 이 대통령은 지난 16일 ‘장·차관 워크숍’ 머리발언에서 “이즈음에 무엇보다 정치적 안정이 매우 필요하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경제위기 국면에서 정치적 안정이 되어야 이를 극복할 수 있다는 뜻”이라고 해명했지만, 야당은 ‘선거 개입’이라며 비판하고 나섰다. 이 대통령은 이에 앞서 지난 14일 춘천에서 열린 문화체육관광부 업무보고에서는 “총리와 국방부·통일부 장관이 강원 출신이다. 이번 내각은 강원도 내각”이라고 말해 야당으로부터 “해당 지역 관련 언급을 하는 형태의 전형적인 선거 개입”이라는 비판을 받은 바 있다.
이 대통령의 이런 발언은 듣기에 따라선 모두 ‘정치 개입’으로 볼 여지가 적지 않다. 이 대통령이 최근 각 부처 업무보고를 받으면서 참여정부의 잘못을 연일 공격하는 것도 ‘총선 개입’ 논란을 피하기 힘들어 보인다.
또 이 대통령의 충남 홍성 방문 계획도 야당으로부터 반발을 받았다. 홍성은 이회창 자유선진당 총재의 출마 지역이기 때문이다. 이 총재는 “선거기간 이 대통령의 방문은 잘못”이라고 날을 겨눴다.
그러나 청와대는 ‘총선 개입’ 논란을 강하게 부인하고 있다.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은 “‘정치적 안정’ 등의 이야기는 지극히 원론적인 언급”이라며 “또 총선을 의식해 지방 현지 업무보고도 선거 보름 전에 다 끝내도록 했다”고 말했다.
최근 청와대는 ‘공천 개입’, ‘총선 개입’ 공격에도 공식 반응을 최대한 자제하는 등 맞대응을 피하고 있다. 정치적 논란이 더 커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 청와대 내부에서는 ‘정치적 논란이 생길 수 있는 발언은 정무수석실 쪽으로 채널을 일원화한다’는 방침도 세워놓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 대통령은 정치인 출신이 아니어서 에둘러 말하거나 암시 등에는 익숙지 않다”며 “이 대통령의 발언을 정치인 발언처럼 깊게 해석하면 안 된다. 말 그대로가 전부”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 대통령은 후보 시절에도 공식 발언에서 전후사정이나 중간단계를 건너뛰고 곧바로 결론을 말하는 경우가 많아 정치적으로 여러 가지로 해석될 여지를 스스로 제공한 적이 많다. 이와 관련해 청와대 관계자는 “공식 발언은 정치적 논란을 피하기 위해서라도 정확하게 적시할 것을 요구할 생각”이라며 “대통령 발언은 고도의 정무적 판단과 정교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권태호 기자 h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