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무부 업무보고서도, 상공의 날 행사장서도
이명박 대통령이 최근 곳곳을 돌며 ‘50개 품목 물가관리’를 강조함에 따라 발언의 앞뒤 맥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 대통령은 지난 17일 경북 구미에서 열린 지식경제부 업무보고에서 “물량 수급을 통해 생활필수품에 해당하는 품목 50개에 대해 집중 관리하면, 전체 물가는 상승해도 50개 품목은 그에 비례해 올라가지 않을 수 있다”고 처음으로 언급했다.
이 발언 직후 주무부처인 기획재정부는 기존의 ‘152개 생활물가지수’ 외에 또다른 ‘50개 품목’이란 게 없는 까닭에 당혹스러워했다. 또 정부가 물가를 ‘관리’할 뾰족한 수단이 없고, ‘가격관리’는 새 정부가 주창하는 시장경제에도 맞지 않다는 비판도 잇따랐다. 이 대통령의 발언은 청와대 경제수석실 등이 준비한 ‘말씀자료’와도 무관하게, 본인의 평소 생각을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런데 이 대통령은 일각의 지적에 반론을 제기하듯, 물가와 상관이 없는 19일 법무부 업무보고와, 같은 날 오후 상공의 날 기념행사에서도 ‘서민물가 50품목 관리’를 연거푸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법무부 업무보고 전 티타임 자리에서 물가 얘기를 먼저 꺼내 “50개 (품목의) 수급은 잘 관리해 자연스럽게 가격조정되도록 해 장바구니 가격이라도 좀 낮춰보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오후엔 “기업들에게 (가격을) 내려라 하는 게 아니고, 물량수급을 통해 해결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오후 브리핑에서 “흑백논리식의 정형화된 비판이 횡행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서민체감 물가관리 노력한다’고 하면, ‘물가통제 하겠다는 것이냐’는 비판이 나와 안타깝다”며 “통제가 아니라 수급조절을 통해 가격을 안정시키고 동향을 예의주시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권태호 기자 h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