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개 시민사회단체가 모인 ‘1가구 1주택 국민운동’ 회원들이 28일 오전 서울 종로구 청운동 청와대 들머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부동산 투기 의혹을 받고 있는 청와대 수석들의 이름 옆에 법 위반 등 의혹 내용을 붙이고 있다. 김종수 기자 jongsoo@hani.co.kr
박미석 수석 사표뒤 청와대
‘정치인 정무수석’ 등 개편 공감
큰폭 자리이동엔 부담 커
후임으로 김대식·고경화 등 거론
‘정치인 정무수석’ 등 개편 공감
큰폭 자리이동엔 부담 커
후임으로 김대식·고경화 등 거론
28일 오후 2시, 청와대에서는 류우익 대통령실장 주재로 수석비서관 회의가 열렸다. 일상 회의였지만, 전날 사의를 표명한 박미석 사회정책수석의 사표 수리 여부 및 후임 인선 등도 논의된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는 박 수석의 사퇴로 후임 사회정책수석 자리를 메워야 한다. 그런데 공석인 사회정책수석 자리만 메울 것인지, 이 기회에 다른 수석들의 자리 이동을 포함한 소폭 개편을 할 것인지가 관건이다. 그동안 박재완 정무수석을 사회정책 쪽으로 옮기고, 정무수석에 정치권 인사를 앉히는 방안이 자주 거론됐다.
청와대는 이날 뚜렷한 결론을 내리진 못했다. 그러나 현재의 포진을 크게 흔드는 개편에는 부정적인 의견이 많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이날 “청와대가 전반적으로 잘 돌아가지 않아 문제다. 그래서 개편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며 “그러나 두 달도 안 돼 전반적인 자리이동을 하기에는 부담이 크다”고 털어놓았다. 청와대의 또다른 관계자도 “당에서는 그런 이야기를 많이 하는데, 청와대가 이제 겨우 자리잡아 가는 시점에서 조직을 흔든다는 게 쉽지 않다”고 비슷한 견해를 나타냈다.
청와대 시스템의 문제점은 두 달이라는 짧은 기간에 여기저기서 불거졌다. 구체적인 정책 성과물보다 여권 내부의 불협화음만 도드라진 데는 청와대 책임이 적지 않다. 정권이 출범하자마자, 총선 공천을 놓고 빚어진 당·청 갈등, 추경 편성 등과 관련된 당·정 갈등이 끝없이 이어졌다.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 25일 확대비서관회의에서 “지난 두 달 동안 ‘청와대는 부자들이 모여 있나 보다’, 이런 인상은 줬지만 ‘야, 정말 기민하게, 정말 국민들이 바라는 바를, 일의 핵심을 파악해서 딱 딱 할 일을 하고 있다’, 아직은 이런 이미지를 굳히지 못했다”고 말한 것은, 말뜻 그대로 청와대 수석들을 향한 강한 질타로 볼 수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단순히 사회정책수석의 빈 자리를 채우는 게 아니라, 기능적 측면을 조정하고 조직도 쇄신할 필요가 있다”면서도 “그러나 지금으로 봐선 그렇게 할 가능성이 크지 않아 보인다. 이곳저곳 고려해야 될 데가 많아지니까”라고 말했다. 박재완 정무수석의 재배치를 포함한 청와대 조직 개편보다는 물러나는 박 수석 자리에 다른 사람을 채우는 식으로 이번 인사 파동을 서둘러 마무리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여당의 한 핵심의원은 청와대 사회정책수석과 관련해 “친기업적, 경제성장 이미지가 강한 이명박 정부의 성공 여부는 양극화 해소 및 복지정책 등에서 얼마나 성공을 거두느냐에 달렸다”며 “따라서 사회정책수석은 이명박 정부에선 특히 중요한 자리”라고 말했다. 이 의원은 또 “박미석 수석의 경우 개인적 흠결과 상관없이 이런 일을 감당하기에 적임이었느냐에 대해 의문”이라고 말했다.
청와대는 박 수석의 후임과 관련해 재산·도덕성 등에 문제가 없을 뿐 아니라 업무능력도 갖춰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현재 새 사회정책수석 후보로는 김대식 동서대 교수, 김태현 성신여대 교수와 안명옥 고경화 의원 등이 거론되고 있으나, 아직은 구체적인 논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상황이다.
권태호 기자 h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