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지난해 11월 철도공사(옛 철도청)의 러시아 유전개발 의혹사건에 대해 경위 파악에 나섰던 것으로 22일 밝혀졌다.
김만수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청와대 국정상황실에서 지난해 11월 초 정부기관으로부터 ‘철도공사가 유전 개발업체 인수를 추진하고 있다’는 정보보고를 처음으로 받았다”며 “사업 타당성을 재검토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의견이 있어 11월 중순까지 경위를 파악했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또 “석유공사와 에스케이에 문의한 결과 양쪽에서 ‘사업성이 부족하다고 판단해 포기한 사업’이라는 답변을 들었다”며 “다시 왕영용 철도공사 사업개발본부장에게 문의했더니 ‘하자가 있어 계약을 무효화하고 사업을 포기할 계획’이라는 답변을 듣고 국정상황실에서 자체적으로 종결 처리했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안택수 한나라당 의원은 이날 국회 건설교통위에서 “청와대가 유전사업에 대해 철도공사와 석유공사, 에스케이 유전개발 담당자에게 여러 차례 문의한 적이 있다는 제보를 받았다”며 “이로 볼 때 권력형 비리사건이라는 의구심이 든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해 고영구 국가정보원장은 이날 국회 정보위원회에서 러시아 유전개발 의혹사건과 관련해 “매우 중립적인 내용의 보고서가 11월 초 (나에게) 올라왔다”고 답변했다고 권영세 한나라당 의원이 전했다.
고 원장은 “계약금 70억원에 전체 사업비 700억원 정도의 유전사업을 철도청이 하고 있는데 잔금을 못구해 애로 사항이 있는 것 같다는 내용의 보고서였다”며 “보고서를 읽은 뒤 특별한 조처는 취하지 않았다”고 답변한 것으로 전해졌다. 강희철 김의겸 기자 hcka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