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재철 한나라당 원내 수석부대표(왼쪽)가 23일 오후 국회 본회의장에서 임채정 국회의장에게 정운천 장관 해임겅의안의 투표종료 선언을 빨리 해줄 것을 요청하고 있다.
정운천 해임안 부결
6·4 재보궐 선거때까진 별도 일정없어
18대 개원 뒤 정국 주도권 되찾기 시도
6·4 재보궐 선거때까진 별도 일정없어
18대 개원 뒤 정국 주도권 되찾기 시도
청와대가 간신히 한숨을 돌렸다. 23일 국회의 정운천 농림수산식품부 장관 해임건의안이 간발의 차로 부결됐기 때문이다.
청와대는 애초 건의안 가결 가능성을 깊이 걱정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구속력이 없다는 논리를 내세워왔지만 국회가 나름의 민심을 담아 결과물을 내놓는 것을 무시하기 어려워서였다. 그러나 이날 야당 내부 자중지란으로 건의안이 부결됨에 따라 청와대는 정국을 수습할 여유를 갖게 됐다.
다만 청와대 관계자들도 국민여론을 의식해 삼가는 모습은 보이고 있다. 박재완 정무수석은 “어제 대통령 담화를 발표했음에도 불구하고, 찬성표가 그만큼 나온 데 대해 (청와대에선) 여전히 침울한 분위기”라고 말했다.
어쨌든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쇠고기 파문과 관련해선 당분간 대통령의 언급이 더이상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청와대는 ‘취임 100일’을 맞는 6월3일에도 다음날(6월4일) 재보궐 지방선거 일정을 감안해 별도의 일정을 계획하지 않고 있다.
청와대는 당분간 숨고르기에 이어, 정국 타개를 위한 ‘2차 대응책’을 예정대로 진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차원에서 이명박 대통령은 6월5일 18대 국회 개원 연설을 할 예정이다. 이어 며칠 뒤 ‘국민과의 대화’를 통해 좀더 허심탄회하게 ‘국민과 소통’하면서 정국 주도권을 되찾겠다는 게 청와대의 구상이다.
때맞춰 청와대는 공석인 사회정책수석 등 청와대 일부 조직 쇄신을 시도하고, 이와 함께 ‘공기업 개혁 드라이브’로 분위기 전환을 시도하는 한편, ‘친박복당’ 및 ‘7월 한나라당 전당대회’ 등에도 어떤 형식으로든 정치력을 발휘해 당·정·청의 유기적 관계 회복을 시도할 방침이다.
그러나 청와대 계산대로 국민여론이 호전될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이날 국회의 건의안 부결과 상관없이,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리얼미터’가 지난 20~21일 실시한 국민 여론조사에서는 ‘정 장관이 사퇴해야 한다’는 의견이 53.5%로, ‘사퇴에 반대한다’는 의견(28.0%)을 압도했다. 또 농식품부 장관 고시에 이어 실제로 미국산 쇠고기가 수입될 경우의 여론 추이도 쉽게 예측되지 않는다.
한편, 이 대통령은 23일 청와대에서 열린 전국 시장·군수·구청장 초청 오찬간담회 인사말을 통해 “어제 (대국민) 담화를 발표했으나 우리가 아무리 해도 부족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계속해서 점진적으로 더 잘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권태호 기자 ho@hani.co.kr
권태호 기자 h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