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정 협의키로…청와대 “내각인선 특정지역·인맥 배제”
정부와 여당이 6·10 촛불대행진에서 표출된 민심을 고려해 공기업 민영화, 한반도 대운하 등 주요 정책들을 후순위 과제로 미루고, ‘고성장’ 위주의 경제 처방은 재검토하기로 했다.
정부와 한나라당은 11일 정례 당정회의를 열고 현재 65살 이상 노인의 60%까지 지급하는 기초노령연금을 70% 이상으로 확대하는 등의 서민 생활부담 경감대책을 협의했다. 당정은 또 공기업 민영화와 대운하 문제가 국민 불안을 가중시켰다며, 이들 정책의 완급과 우선순위를 조정하기 위한 고위 당정협의를 곧 열기로 했다.
조윤선 대변인은 “한나라당은 정부가 당과 협의하지 않은 채 일방적으로 발표해 민심의 공격을 받았던 주요 정책 전반을 재검토하고 재조정하기로 했다”며 “워낙 중대한 사안들이어서 정부로서도 검토하고 입장을 정리할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임태희 정책위의장은 “(공기업 민영화와 대운하 문제가) 미뤄질 수밖에 없다. 정부가 계획한 대로 일방적으로 밀어붙일 상황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최근 친형인 이상득 의원을 만난 자리에서 대운하를 두고 “국민들이 싫어할 경우, 결단을 내리겠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는 또 내각 및 청와대 개편 인선과 관련해 특정 지역, 특정 인맥 위주의 편향을 배제한다는 기준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국민 눈높이에 맞는 사람을 물색하고 있으나, 적격자를 찾기가 쉽지 않다”며 “참신성·청렴성 등의 조건이 중요한 고려사항”이라고 말했다. 이동관 대변인은 “인사 시기가 다소 늦어질 수 있다”며 ‘박근혜 총리설’에 대해선 “(현재까지) 공식 제안을 한 바가 없다”고 전했다.
한편, 이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열린 제1차 중소기업 성공전략회의에서 “6·10 민주화 항쟁 집회 모습을 보면서 많은 생각을 했다. 학생 때 나도 민주화 운동에 참여하면서 고통을 겪었던 민주화 1세대”라며 “오늘 아침 국무위원과 수석들에게 한 치의 (국정) 공백이 없도록 열심히 일해 달라고 부탁했다”고 말했다.
권태호 임석규 기자 h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