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대중 전 대통령(오른쪽 맨 위)이 12일 저녁 서울 여의도 63빌딩에서 열린 6·15 남북공동선언 8돌 기념 특별강연장에서 정부 대표 자격으로 참석한 김하중 통일부 장관(왼쪽 맨 위)과 함께 굳은 표정으로 앉아 있다. 강재훈 선임기자
‘6·15 선언’ 8돌 기념행사
한반도 전문가들 특별강연
“대북 강경책은 부시도 포기”
한반도 전문가들 특별강연
“대북 강경책은 부시도 포기”
김하중 통일부 장관이 12일 서울 여의동 63빌딩에서 김대중평화센터 주최로 열린 6·15 선언 여덟 돌 기념행사에 정부 대표 자격으로 참석해 축사를 했다. 김 장관의 행사 참석은 그동안 북한이 남북관계 개선 조건으로 이명박 정부의 6·15와 10·4 정상회담 계승·이행을 내놓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끌었다.
김하중 장관은 이날 축사에서 6·15 선언 계승·이행과 관련해 “이명박 정부는 과거 남북간 이뤄진 여러 합의, 7·4 공동성명, 남북 기본합의서, 한반도 비핵화선언, 6·15 공동선언, 10·4 선언 등의 이행문제에 대해 북한과 협의할 용의가 있다”며 6·15 선언에 대한 정부의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다.
그러나 김 장관은 “2000년 이후 남북간에 많은 일이 일어났고, 철도·도로가 연결되고 개성공단에 기업들이 진출하고 금강산 관광사업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며 “남북관계 발전을 새롭게 개척해주신 김대중 전 대통령의 용기 있는 결단을 평가한다”고 밝혔다.
직접 6·15 선언에 대한 변화된 입장을 내놓진 않았지만, 6·15 남북 정상회담이 있었던 2000년 이후 남북관계의 발전을 언급하는 방식으로 에둘러 6·15 공동선언을 평가한 것이어서, 향후 남북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통일부 당국자는 “축사 내용보다는 통일부 장관이 정부 대표 자격으로 6·15 여덟 돌 기념행사에 참석해 축사를 한 게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날 기념식에서 백낙청 서울대 명예교수, 와다 하루키 일본 도쿄대 명예교수 등 국내외 원로급 전문가들은 특별강연을 통해 남북이 6·15 공동선언과 10·4 선언을 존중해 상생 공영의 남북관계를 이뤄야 한다는 데 뜻을 모았다.
김대중 전 대통령은 인사말에서 남북관계가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경색 상태에 있지만 결국은 화해 협력의 방향으로 발전해 나갈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그 방향 외에는 대안이 없고, 화해 협력하는 것이 남북 쌍방에 이익이 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권혁철 기자 nur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