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당은 “열리면 등원”
민노, 민주에 공조 요청
민노, 민주에 공조 요청
쇠고기 추가 협상 발표 이후 야권의 등원 문제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통합민주당은 22일 조정식 민주당 원내 대변인의 공식 브리핑을 통해 “추가협상은 미봉책에 불과하기 때문에 등원할 수 없다”는 강경 입장을 내놓았다. 조 원내 대변인은 “이제 한나라당은 쇠고기 문제가 다 매듭지어졌으니 들어오라고 하고 정부는 고시를 강행하려고 한다”며 “야당이 끌려가듯이 추가협상을 인정하면서 국회에 들어갈 수 있겠느냐”고 말했다. 이번 추가 협상은 미국산 쇠고기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없는 미봉책이기 때문에 전면 재협상을 해야 하고, 등원을 위해서는 한나라당이 가축전염병예방법 개정과 같은 대안을 제시해야 등원할 수 있다는 것이다.
민주당에선 그러나 공식 기조와 별개로, 변화 여지를 두는 모습도 나타났다. 원혜영 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등원 문제는) 우리 당에서 의원들이 해야 할 첫 의사결정 사안이다. 신중한 의견수렴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이번 주 초에 적절한 방식으로 의견수렴을 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민주당의 등원 여부는 당내 의견 수렴과정을 통해 최종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은 당장 23일 열리는 최고위원회의에서부터 “정부의 추가 협상을 인정해줄 수 없다”는 등원 반대론과 “원외에서 딱히 할 일이 없기 때문에 국회로 들어가야 한다”는 등원 찬성론이 맞부딪칠 것으로 보인다.
이와 달리, 자유선진당의 입장은 간명하다. “국회가 열리면 등원하겠다”는 편리한 방침을 이미 내놓았기 때문이다. 자유선진당은 한나라당과 민주당의 합의에 따라 국회가 열리기를 기다린다는 입장이다. 권선택 원내대표는 이날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추가 협상 결과와 상관없이 이 문제를 국회에서 다루면 된다. 국회가 열리면 등원을 해서 쇠고기 국정조사 등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일찌감치 장외투쟁에 나선 민주노동당은 민주당에 철저한 공조를 요청했다. 민주노동당은 이날 논평을 통해 “지금 민주노동당과 민주당의 할 일은 국민적 대의를 받들어 수미일관하게 선명한 재협상 관철 입장을 확고부동하게 견지하는 데 있다”며 “관보게재 중단을 위한 국민주권 회복운동에 민주당의 적극적인 역할과 소임을 당부한다”고 밝혔다.
김태규 성연철 기자 dokbul@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