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조사] 미국산 쇠고기 재협상에 대한 여론
[한겨레 여론조사]
“강경진압이 더 문제 43%”
“종교계 참여 부적절” 49%
“강경진압이 더 문제 43%”
“종교계 참여 부적절” 49%
정부는 지난 6월20일 미국과의 추가협의로 미국산 쇠고기 수입에 대한 안전성이 확보됐다며 장관고시를 강행하고, 촛불 집회를 좌파세력의 정권퇴진 음모로 몰아세우고 있다. 하지만 <한겨레> 조사 결과 국민 다수는 여전히 미국산 쇠고기의 안전성을 불신하면서 재협상에 나서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정부의 추가협의로 미국산 쇠고기에 대한 불안감이 얼마나 해소됐느냐는 질문에 67.5%가 부정적 답변(별로 해소되지 않았다. 39.2% + 전혀 해소되지 않았다 28.4%)을 한 것은 이런 국민 정서를 반영한 것이다. 이번 조사에서 추가협의로 불안감이 해소됐다는 응답은 29.0%(완전해소 4.9% + 어느 정도 해소 24.1%)에 그쳤다.
국민의 이런 불안심리는 미국과의 추가협의로 협상이 종결됐다는 정부쪽 설명에 아랑곳하지 않고 재협상 필요성에 공감하는 조사 결과나 원산지표시 확대 방안에 대한 불신에서도 확인됐다.
재협상 필요성을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59.9%는 “추가협의로는 부족하니 재협상이 필요하다”고 답변했다. 반면 “추가협의를 했으니 재협상은 필요없다”는 응답은 34.5%였다. 또 정부가 내놓은 국내 유통·판매과정의 원산지 표시 방안에 대해서도 73.9%가 불신감을 드러냈다. 미국과의 재협상이 쇠고기 안전을 담보할 최선의 대책이며, 원산지표시제 확대 등 정부의 후속 대책은 실효성이 의심스럽다는 국민 정서를 그대로 드러낸 것이다.
미국산 쇠고기에 대한 이런 깊은 불신에도 불구하고, 두 달 가까이 지속된 촛불집회를 바라보는 국민의 심경은 좀 복잡해 보인다.
당장 촛불집회의 지속 여부를 묻는 질문에 42.8%의 응답자가 “공감하지만 이제 중단돼야 한다”, 22.0%가 “공감하지 않으며 중단돼야 한다”고 답했다. 반면 “공감하며 계속돼야 한다”는 응답은 28.%에 그쳤다. 촛불집회에 대한 공감대는 72.2%로 여전히 높으면서도, 촛불집회가 계속되는 데 대해서는 반대 목소리가 많은 것이다.
촛불집회에 대한 이처럼 서로 모순되는 듯 보이는 미묘한 반응은 경찰의 촛불집회 강경진압과 이를 비판하며 최근 촛불집회에 참여한 종교계에 대한 응답에서도 확인됐다.
경찰과 시위대의 정면충돌로 치달은 지난달 28일 촛불집회에 대해 응답자의 43.5%가 “경찰의 강경진압이 더 문제”라고 답했다. “시위대의 과격행동이 문제”(34.1%)라는 답변보다 높았다. 그러나 강경진압을 비판하며 7월1일 시작된 종교계의 촛불시위 참여에 대해선 “적절하지 않다”(49.4%)는 응답이 “적절하다”(43.1%)는 답변을 조금 앞섰다. 미국산 쇠고기에 대해 불신하면서 동시에 촛불집회의 중단을 바라는 언뜻 모순된 흐름이 공존하는 셈이다.
임상렬 리서치플러스 사장은 “국민들이 미국산 쇠고기 수입을 둘러싼 정부의 대응을 여전히 비판하고 촛불집회의 취지에는 공감하면서도, 정부나 집회 참가자 어느 쪽도 양보없이 장기간 대치하는 현재의 국면에 대해 피로감을 느끼며 해법을 기대하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신승근 기자 skshin@hani.co.kr
임상렬 리서치플러스 사장은 “국민들이 미국산 쇠고기 수입을 둘러싼 정부의 대응을 여전히 비판하고 촛불집회의 취지에는 공감하면서도, 정부나 집회 참가자 어느 쪽도 양보없이 장기간 대치하는 현재의 국면에 대해 피로감을 느끼며 해법을 기대하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신승근 기자 sksh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