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친여후보 5명난립…단일화 했으면’
민주 ‘지도부는 주경복…현장 일부선 공정택’
민주 ‘지도부는 주경복…현장 일부선 공정택’
서울시 교육감 선거를 앞두고 정치권의 물밑 대결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한나라당은 여당 성향 후보의 선거 승리를 통해 ‘촛불’ 이후 정국 반전의 계기로 삼으려는 반면, 민주당은 이명박 정부 교육정책을 심판하는 ‘중간평가’의 기회로 보고 있다.
허태열 한나라당 최고위원은 17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지지층의 결속도와, 결속된 지지층을 얼마나 선거에 동원할 수 있느냐가 당락을 결정할 것”이라며 “투표참여 운동을 공개적으로 전개할 것인지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는 “한나라당의 교육 이념·정책과 비슷한 후보는 난립하는데, 전교조가 지원하는 후보는 한 명이다. 전체 투표율이 낮으면 자칫 반한나라당적인 교육 이념을 가진 후보가 교육감이 될 수도 있다”며 한나라당 성향 후보들의 단일화를 에둘러 촉구하기도 했다. 한나라당은 선거관리위원회 질의를 통해 선거법에서 가능한 범위 안에서 투표 독려 운동을 펴기로 결정했다.
민주당도 적극성을 보이고 있다. 민주당 서울시당은 △투표 참여를 독려하는 팻말을 들 수 있는지 △후보들의 정책을 비교해 “민주당에 부합하는 후보는 누구다”라고 공개할 수 있는지 등을 선관위에 질의했다. 민주당뿐만 아니라 민주노동당·진보신당은 공통적으로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 상임대표 출신인 주경복 후보를 이명박 정부 교육정책에 제동을 걸 수 있는 적임자로 보고 있다.
그러나 정치권의 움직임과 달리, 현장 상황은 엉뚱하게 돌아가고 있다는 게 민주당 쪽 얘기다. 민주당 쪽 일부 조직이 현 교육감인 공정택 후보를 지원하고 있기 때문이다. 민주당 서울시당 관계자는 “공 후보가 1998년부터 6년 동안 서울시 교육위원을 지내면서 당시 민주당 소속 서울시 의원들에게 많은 도움을 줬다”며 “공 후보가 호남 출신이라는 점도 이런 현상과 무관하지 않다”고 전했다. 민주당 소속의 이계안 전 의원도 공 후보 캠프의 공동 선대위원장으로 이름을 올렸다. 이 전 의원은 “2004년 총선에서 내가 공약했던 학군광역화와 학부모·학생의 학교선택권 확대를 공정택 교육감이 2010년에 도입하기로 했기 때문에 돕고 있다”고 말했다.
민주당 서울시당은 16일 당 서울시 지역위원회에 공문을 보내 공 후보 캠프에 나가 있는 당직자들의 ‘귀환’을 지시했지만, 현장에서 윗선의 지시대로 움직일지는 미지수다. 김태규 조혜정 기자 dokbul@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