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 광대역통합망 사업이란?
내년 12월까지 총 2367억원 투입
한나라당 고문과 의원들의 개입 의혹이 제기된 ‘국방 광대역통합망 구축사업’은 야전 부대와 부대 사이 및 야전 부대 내 광대역 고속 통신망을 구축하는 사업이다.
국방부는 10일 “군 통신망을 유비쿼터스 환경에 걸맞는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사업”이라며 “올해 10월부터 내년 12월까지 모두 2367억원을 투입해 전국 516개 부대 내 통신망과 297㎞에 이르는 부대 간 통신망을 고속 광케이블로 깔아 속도를 높일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민자투자방식(BTL)으로 이뤄지는 이 사업 입찰엔 모두 3개 컨소시엄이 참여했다. 지난해 말 1차 입찰 땐 장비시험에서 3곳 모두 불합격 처분을 받았으나, 올해 3월 공고된 2차 입찰 결과 지난달 에스케이티(SKT) 컨소시엄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국방부는 외부 용역 결과에 근거해 이 사업 기술방식을 대규모 통신망 운영기업과 공공기관에서 주로 이용되는 MSPP(Multi-Service Provisioning Platform)방식으로 한다고 공고해, 응찰을 받았다.
이번에 문제가 된 ㄷ사는 이 사업에 ‘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기술이 적합하다는 취지의 민원을 2차 입찰 공고 직전 유한열 한나라당 고문을 통해 공성진 의원실에 제기했다. 고속전송이 가능한 이 기술은 아파트단지의 광랜에 사용되고 있다.
국방부는 “ㄷ사가 제기한 기술은 안정성과 신뢰성 측면에서 국방망 적용이 곤란하며, 특히 암호장비와 호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기술을 개발해야 하는 한계가 있다”고 밝혔다. 국방부 관계자는 “ㄷ사는 지방 소재 업체로, 기술방식 자체가 달라 3개 응찰 컨소시엄에 들어 있지 않았다”며 “2차 입찰 공고 직전 자기들도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기술방식이 바뀌어야 한다는 민원을 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국방부는 “이 사업과 관련해 공성진 의원실이 최초로 국방 차관실에 경위 등을 문의해왔으며, 김종천 차관 지시로 국방부 정보통신기반체계 과장이 공 의원 보좌관에게 사업 취지와 진행 상황을 설명했다”고 밝혔다.
손원제 기자 won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