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보선 공천 23곳 모두 패배
정국 주도권 ‘회오리’
열린우리당이 4·30 재보궐선거에서 국회의원은 물론, 기초자치단체장, 광역의원까지 단 한 석도 건지지 못하고 참패했다. 그러나 문희상 의장을 비롯한 당 지도부는 1일 사실상 아무런 책임도 지지 않고 넘어가기로 결정해, ‘선거 결과에 나타난 민심을 제대로 수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열린우리당은 1일 오후 재보선 후속대책을 논의하기 위한 상임중앙위원회를 열어 당 혁신위원회를 꾸리기로 했다. 혁신위 위원장과 부위원장에는 한명숙·유시민 상임중앙위원이 각각 임명됐다. 문희상 의장은 “지도부 사퇴 얘기가 나왔지만 바람직하지 않은 방향이라는 얘기가 더 많았다”며 “그럴 각오로 당내 책임있는 사람들로 당 혁신위원회 같은 것을 만들어 기득권을 모두 버리고 온 당력을 모은다는 데 의견합치를 봤다”고 밝혔다. 이날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최종집계 결과, 33.6%의 투표율을 기록한 이번 4·30 재보선에서 열린우리당은 6곳의 국회의원 재선거는 물론, 7곳의 기초단체장 선거와 10곳의 광역의원 선거 등 정당 공천이 이뤄진 23개 선거구에서 모두 패배했다. 반면, 한나라당은 △경기 성남 중원(신상진) △경기 포천·연천(고조흥) △충남 아산(이진구) △경북 영천(정희수) △경남 김해갑(김정권) 등 5곳의 국회의원 재선거에서 승리했으며, 행정중심도시 건설 예정지인 충남 공주·연기에서는 심대평 충남지사의 지원을 받은 정진석 무소속 후보가 당선됐다. 이에 따라 열린우리당은 146석을 유지해 과반의석(150석) 복귀에 실패했다. 한나라당은 120석에서 125석으로 늘어났고, 민주노동당 10석, 민주당 9석, 자민련 3석, 무소속 6석으로 ‘여소야대’ 체제가 굳어졌다. 7곳의 기초단체장 선거에서는, 한나라당이 △부산 강서구(강인길) △경기 화성시(최영근) △경북 경산시(최병국) △경북 영덕군(김병목) △경북 영천시(손이목) 등 5곳에서 당선됐다. 목포시장은 정종득 민주당 후보가, 경북 청도군수는 무소속의 이원동 후보가 당선됐다. 10곳의 광역의원 선거에서는 한나라당 후보 8명, 민주당 후보 1명, 무소속 후보 1명이 당선됐다. 열린우리당이 이번 재보선에서 국회 의석을 한 석도 추가하지 못함에 따라, 5월4일 폐회하는 4월 임시국회 및 6월 임시국회에서 다룰 과거사법, 사립학교법, 국가보안법 등 쟁점 법안 처리와 유전개발 의혹 관련 특검법안 및 쌀협상 국정조사 협상 등에서 고전이 예상된다.
또 각 상임위원회에서도 여당이 과반을 차지하지 못하는 곳이 늘어나게 됐다. 임태희 한나라당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의석변화를 반영해 상임위 정수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며, 즉시 이 문제를 들고 나왔다. 이에 따라 열린우리당은 다른 야당과의 사안별 협조를 통한 정국 운영을 시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당내에서는 지난 4·2 전당대회 이후 잠복했던 당내 ‘실용’ 대 ‘개혁’ 노선의 대립이 재점화하고, 과거사법과 국가보안법 등 주요 개혁법안의 처리 방향을 둘러싼 갈등도 증폭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여권은 이와 함께 국회에서의 불안정한 지위를 극복하기 위해 중·장기적으로 다른 정파와 연대 및 합당을 모색하는 등의 방식으로 정국 전환을 시도할 가능성도 있다. 이런 흐름이 심대평 충남지사를 중심으로 한 중부권신당 창당 세력의 창당 움직임과 맞물릴 경우, 정계개편의 단초가 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한편, 한나라당은 재보선 압승의 여세를 몰아 박근혜 대표 체제를 더욱 공고히 하면서, 내년 지방선거와 2007년 대선을 겨냥해 여권에 대한 압박 강도를 더욱 높일 것으로 예상된다. 임석규 기자 sky@hani.co.kr
정국 주도권 ‘회오리’
열린우리당이 4·30 재보궐선거에서 국회의원은 물론, 기초자치단체장, 광역의원까지 단 한 석도 건지지 못하고 참패했다. 그러나 문희상 의장을 비롯한 당 지도부는 1일 사실상 아무런 책임도 지지 않고 넘어가기로 결정해, ‘선거 결과에 나타난 민심을 제대로 수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열린우리당은 1일 오후 재보선 후속대책을 논의하기 위한 상임중앙위원회를 열어 당 혁신위원회를 꾸리기로 했다. 혁신위 위원장과 부위원장에는 한명숙·유시민 상임중앙위원이 각각 임명됐다. 문희상 의장은 “지도부 사퇴 얘기가 나왔지만 바람직하지 않은 방향이라는 얘기가 더 많았다”며 “그럴 각오로 당내 책임있는 사람들로 당 혁신위원회 같은 것을 만들어 기득권을 모두 버리고 온 당력을 모은다는 데 의견합치를 봤다”고 밝혔다. 이날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최종집계 결과, 33.6%의 투표율을 기록한 이번 4·30 재보선에서 열린우리당은 6곳의 국회의원 재선거는 물론, 7곳의 기초단체장 선거와 10곳의 광역의원 선거 등 정당 공천이 이뤄진 23개 선거구에서 모두 패배했다. 반면, 한나라당은 △경기 성남 중원(신상진) △경기 포천·연천(고조흥) △충남 아산(이진구) △경북 영천(정희수) △경남 김해갑(김정권) 등 5곳의 국회의원 재선거에서 승리했으며, 행정중심도시 건설 예정지인 충남 공주·연기에서는 심대평 충남지사의 지원을 받은 정진석 무소속 후보가 당선됐다. 이에 따라 열린우리당은 146석을 유지해 과반의석(150석) 복귀에 실패했다. 한나라당은 120석에서 125석으로 늘어났고, 민주노동당 10석, 민주당 9석, 자민련 3석, 무소속 6석으로 ‘여소야대’ 체제가 굳어졌다. 7곳의 기초단체장 선거에서는, 한나라당이 △부산 강서구(강인길) △경기 화성시(최영근) △경북 경산시(최병국) △경북 영덕군(김병목) △경북 영천시(손이목) 등 5곳에서 당선됐다. 목포시장은 정종득 민주당 후보가, 경북 청도군수는 무소속의 이원동 후보가 당선됐다. 10곳의 광역의원 선거에서는 한나라당 후보 8명, 민주당 후보 1명, 무소속 후보 1명이 당선됐다. 열린우리당이 이번 재보선에서 국회 의석을 한 석도 추가하지 못함에 따라, 5월4일 폐회하는 4월 임시국회 및 6월 임시국회에서 다룰 과거사법, 사립학교법, 국가보안법 등 쟁점 법안 처리와 유전개발 의혹 관련 특검법안 및 쌀협상 국정조사 협상 등에서 고전이 예상된다.
또 각 상임위원회에서도 여당이 과반을 차지하지 못하는 곳이 늘어나게 됐다. 임태희 한나라당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의석변화를 반영해 상임위 정수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며, 즉시 이 문제를 들고 나왔다. 이에 따라 열린우리당은 다른 야당과의 사안별 협조를 통한 정국 운영을 시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당내에서는 지난 4·2 전당대회 이후 잠복했던 당내 ‘실용’ 대 ‘개혁’ 노선의 대립이 재점화하고, 과거사법과 국가보안법 등 주요 개혁법안의 처리 방향을 둘러싼 갈등도 증폭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여권은 이와 함께 국회에서의 불안정한 지위를 극복하기 위해 중·장기적으로 다른 정파와 연대 및 합당을 모색하는 등의 방식으로 정국 전환을 시도할 가능성도 있다. 이런 흐름이 심대평 충남지사를 중심으로 한 중부권신당 창당 세력의 창당 움직임과 맞물릴 경우, 정계개편의 단초가 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한편, 한나라당은 재보선 압승의 여세를 몰아 박근혜 대표 체제를 더욱 공고히 하면서, 내년 지방선거와 2007년 대선을 겨냥해 여권에 대한 압박 강도를 더욱 높일 것으로 예상된다. 임석규 기자 sk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